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록
부가
게재
삽입
기입
보유
첨부
d라이브러리
"
추가
"(으)로 총 2,6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정도로 관심을 많이 모았어요.2010년에는 실종자 수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기능을
추가
해 ‘사람 찾기’ 사이트를 선보였어요. 찾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사이트에 들어가 이름과 특징, 마지막으로 있었던 위치만 입력하면 돼요. 그러면 구글이 정부와 구호단체에서 가지고 있는 실종자 혹은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게일 크레이터 근처 락네스트 지역의 토양에 이산화황(SO2)이 다량 포함돼 있다는 것을
추가
로 밝혔다.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이 정보를 이용해 황을 주성분으로 한 ‘화성 콘크리트’를 개발해 올해 5월 21일 ‘건설과 건축재료’에 공개했다(doi:10.1036/1097-8542.BR0208161). 연구팀은 모조의 화성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자기장을 느끼는 원리와 자기장 정보를 대뇌까지 전달하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밝히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가끔은 다른 사람이 말하지 않아도 느낌으로 그 사람의 마음을 알 때가 있다. 오랫동안 알고 지내던 친구가 어느 날 문득 나를 바라보는 시선에서 예사롭지 않은 감정이 느껴질 수도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농도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 새로운 시뮬레이션에는 황산염 농도의 변화가
추가
됐다.논문의 제1저자인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작은 비행기였다. 역시 드론에 속하긴 하지만 날개가 있고 그 끝에 여러 개의 로터가
추가
된 독특한 모습이었다. 날개가 고정된 비행기와, 로터가 회전하는 멀티콥터의 장점을 모두 취한 설계였다.실제로 파셀콥터는 날개의 각도를 90°까지 조절했다. 이륙할 때는 로터를 하늘로 향하게 해 수직으로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고등학생이라면 풀 수 있는 문제인 만큼 반드시 온라인상에서만 풀자고 규칙을 하나 더
추가
했다. 떠오른 아이디어나 수식 전개를 연습장에 적지 말라는 것이다.그 결과 새로운 증명법 6가지를 더 발견했다. 수학자들은 2012년까지 매해 그해 가장 어려웠던 문제를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물을 조금 묻혀 유리컵 가장자리를 문질러 보자. 마찬가지로 컵이 떨리면서 소리가 난다.
추가
실험. 자로도 실로폰을 만들 수 있다?!실로폰은 막대로 네모난 건반을 내리쳐서 음을 만드는 악기다. 건반의 길이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하며 높은 소리가 난다. 실로폰은 나무나 철판 등 다양한 재료로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고국을 연상케 했다. 다만 다른 것이 있다면 눈을 뜨기조차 힘들 정도로 강렬한 햇빛이
추가
된 정도였다. 우리나라 간이역과 비슷한 크기의 축 공항에서 태평양해양과학기지(이하 기지)까지는 차로 40분 정도 걸렸다. 8km가 채 안 되는 거리지만 이 중 미끈하게 포장된 도로는 500m 정도밖에 되지 않아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진양은 고개를 젓고 손가락을 들어 가리켰다.“저 육체를 총으로 쏜다고 해서 죄가
추가
되진 않을 겁니다. 잘 보세요. 모자도 제대로 쓰고 있지 않잖아요. 저건 말 그대로 도구에 불과합니다. 핵미사일을 발사하려면 두 사람이 동시에 레버를 돌려야하거든요. 저게 할 수 있는 행동이라고는 내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현저히 적은 등 예측하기가 어려운 기후 조건이었다.때문에 개화는 ‘생물계절모형’을
추가
로 이용한다. 생물계절모형은 식물이 주기적으로 보이는 생물학적 변화를 이용해 시기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예를 들어 개나리, 진달래, 벚꽃 등은 봄에서 가을까지 꽃눈이 분화해 이듬해 봄에 개화한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