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희망"(으)로 총 1,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형사고 대비, 선진국 이렇게 한다과학동아 l1995년 08호
- 한다.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사고명령체제, ICS를 소개한다.사고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은 희망일 뿐, 결코 현실에서 가능한 일은 아니다. 사람이 사는 곳엔 으레 그림자처럼 크고 작은 사고가 따라다니게 마련이기 때문이다.지구상에는 홍수 화산분출 지진 해일과 같이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 ...
- 3. 세계 10위 목표, 지식보다 상상력 소중히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일이다. KAIST는 2005년까지 세계 10위권의 대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절대로 이 목표는 희망에 머물지 않을 것이다. 미국 공학평가기관의 '상위 10% 이내'라는 평가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실제 이대학에서 국제 저명저널에 게재되는 논문수를 세어보면 쉽게 알 수 있다.대학의 우수성이란 입학생의 ... ...
- 음악 즐기며 열린 과학의 꿈 키운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인간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컴퓨터 음악으로 발전시켜 컴퓨터 음악의 대중화를 희망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과학기술대학 강당에서 열리는 금요문화행사는 주로 과기대 학생들을 위한 행사이지만 유성을 위시한 대전 지역의 주민들 모두에게도 무료로 ...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과학동아 l1995년 07호
- 토끼를 박멸시킬 수 있다는 희망으로 바이러스 살포를 지속했다.그러나 이러한 농부의 희망은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만 성공한 것처럼 보였을 뿐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전체를 대상으로 봤을 때 예기치 못한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이러스의 병독성이 약해진 것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최근에는 미국의 몇몇 그룹이 택솔의 완전합성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매우 희망적인 소식이지만 이러한 완전합성이 경제적인 면에서도 성공적일지는 더 두고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최근 우리나라의 임목육종연구소에서 주목나무 잎과 씨눈을 조직배양해 택솔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 ...
- 1 무한한 잠재력 미래 기술의 최대 변수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있음을 부인하기 힘들지만, 이같은 변화는 아시아 과학기술이 깨어 일어날 수 있다는 희망이 되기에 충분하다.사실 과학기술에 관한 인적자원은 아직도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문제다. 또한 질적으로 보아도 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아시아 각국 정부와 ...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다른 부위로의 전이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반대로 돌연변이된 p53의 수가 적으면 희망적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그러나 아직까지 p53을 암의 조기 진단용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요. 이미 암조직을 몸에 지니고 있는 환자에게서만 고장난 p53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암 환자라 ...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년 06호
- 희망반이었다. 이런 암흑물질은 별과 은하의 탄생에 큰 촉진제가 되었다. 여기까지는 희망적 결과였다. 그러나 이들 별과 은하의 공간상 분포 모습은 관측된 우주의 모습과 비교해보면 아주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났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우리 우주 공간에 고루 퍼져있는 미지의 암흑물질이 ...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자유와 평온을 찾지 못한 소년 아인슈타인은 종교에서도 찾지 못하고 마지막으로 과학에 희망을 걸게 되었고, 그것이 바로 위대한 과학적 업적의 밑거름이 되었던 것이다.아인슈타인의 이같은 남다른 자유정신과 열정은 과학의 세계에서는 무한한 창조력으로 발현되어 20세기 과학의 기초를 ... ...
- 과학고 1회·과기대 1회·박사 1호 정근창박사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쏘다니느라고 공부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는 것.과학고 시절은 정박사에게 새로운 희망을 준 시기. "공부를 무척 재미있게 했습니다. 지금은 조금 달라졌다고 들었지만 당시는 2학년 때까지 대학입시는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국정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은 물론이고 당시 사대에서 교육자료로 썼던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