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뉴스
"
모습
"(으)로 총 9,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속 '무선통신' 길 열었다…"매몰 시 생존 여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지상 송신기와 지중 수신기 사이에 무선통신이 이뤄지는 과정을 CG로 표현한
모습
. ETRI 제공. 연구진은 석회암 암반으로 구성됐으며 여러 층으로 나뉜 광산 내 40m 거리에서 20kHz(킬로헤르츠) 대역 반송파를 이용해 음성신호 전송 수준인 4kbps(초당 킬로비트)급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2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②풀어드립니다…전력반도체·프리폼 디스플레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모습
. PhonlamaiPhot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기상 재해 등 과학기술과 관련된 이슈가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습니다. 우주개발, 양자컴퓨팅, ... ...
무서운 태풍 분석 가능해질까…'와류' 존재 수학적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계산한다. 1894년 영국 수학자 미가야 힐(M.Hill)은 공 모양으로 형성된 와류가 고유의
모습
을 유지하며 축을 따라 무한히 앞으로 나아간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밝혔다. 최 교수는 변분법을 이용해 힐이 계산한 구형 와류가 특정 조건에서 운동에너지를 최대화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변분법은 ... ...
"한국 연평균 초미세먼지 WHO 권고수준 4배"
동아사이언스
l
2023.08.30
국가 중 한곳인 인도의 항구도시 뭄바이의
모습
. Aaron Erwin/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초미세먼지(PM2.5)로 일부 국가는 지난 10년간 기대수명이 5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의 인류 건강 위협이 현실화하고 있다. 국가별 불균형이 심각해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에서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 ...
우주여행 후 적혈구·뼈 고갈...골수 지방이 회복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8
우주비행사 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사를 하는
모습
.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장기간 체류한 우주비행사들의 인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확인하고 대응방법을 찾는 것은 미래 유인 우주 탐사 시대에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에선 미세중력 환경인 ... ...
고양이가 참치를 좋아하는 이유..."최고의 감칠맛이 느껴진다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27
고양이가 참치맛을 알게 된 시점은 아직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고양이가 물고기를 먹는
모습
은 기원전 1500년 전 이집트 벽화에도 묘사돼 있지만 언제 참치를 선호하게 됐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중세 무렵 고양이들이 중동 항구 근처에서 어부들이 남긴 쓰레기를 먹으면서 참치를 ... ...
국내 최초 ‘눈 없는 거미’ 발견...어두운 동굴서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26
구슬거미 암컷의
모습
, 햇빛을 비추면 몸과 다리에서 푸른 빛이 영롱하게 반사된다.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거미는 보통 눈이 8개입니다. 8개의 눈마다 기능이 다른 덕분에 거미는 작은 몸집에도 불구하고 시야가 넓습니다. 그런데 지난 7월 국립생물자원관 등 공동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눈이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가 가루처럼 터지는 '말불버섯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26
포자를 터뜨리곤 합니다. 푹푹 퍼져 나오는 올리브색 포자들이 수놓는 아름다운
모습
을 보다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지거든요. 버섯도 손쉽게 포자를 퍼뜨릴 수 있으니, 일석이조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8월 15일호,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가 가루처럼 터진다!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개체에서 유래한 자손들보다 더욱 높아져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전형적인 물벼룩의
모습
(왼쪽)과 포식자에게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반응하여 형질 변화를 일으킨 물벼룩의 자손
모습
. 네이처 제공 이는 진화론에서 설명하는 적자생존의 원칙에 벗어난 현상일 뿐만 아니라, 획득 형질이 다음 ... ...
상상과 생각이 읽힌다...‘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8.25
능력을 잃은 환자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모습
. 사진 출처 국제학술지 네이처(Credit: Steve Fisch). 머릿속에 떠올리는 생각과 상상은 '나'만의 비밀 영역이다. 과학자들이 이같은 비밀 영역의 베일을 벗기기 위한 진일보한 기술을 개발했다. 마비로 말을 못하는 환자의 머릿속 생각을 해독해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