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스페셜
"
마찬가지
"(으)로 총 1,013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유용한 지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염기서열 데이터는 미토콘드리아 게놈과
마찬가지
로 전부 현생인류의 범주 안에 있었다. 그런데 수년전부터 ‘23앤드미(23andMe)’ 같은 개인 게놈을 분석해 결과를 알려주는 회사들이 생기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 업체들은 SNP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서 퍼져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멍1을 막고 구멍2를 연 상태로 총을 쏘면 총알은
마찬가지
로 총구와 구멍2를 잇는 선상을 정점으로 분포한다. 두 구멍을 다 열고 총을 쏘면 총알의 분포는 당연히 앞의 두 분포를 합친 패턴이 될 것이다. 이번에는 같은 구조에서 총알이 아니라 수면파를 일으켜보자.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00%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를 찾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고 묻히는 건 사물이나 사람 모두
마찬가지
라는 생각이 들면서 알고 있는 몇 개 안 되는 시 가운데 하나가 떠오른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엠머밀과 에길롭스 타우쉬이(Aegilops tauschii, DD타입) 사이에 잡종이 나왔고(ABD), 역시
마찬가지
이유로 감수분열이 제대로 안 돼 그 자체가 생식세포가 되면서 6배체(AABBDD, 2n=6x=42)인 빵밀이 나온 것이다. 오늘날 야생에서는 6배체 밀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빵밀은 인류가 만든 작품으로 보인다. ... ...
제3세대 기업가정신과 소셜벤처 육성 전략
KOITA
l
2013.04.23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즉 사회적 기업과
마찬가지
로 소셜벤처에게 보호된 공공시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부의 조달 시장, 서비스 위탁 시장, 대기업의 소모성자재(MRO) 시장 등이 대표적이다. (중략) 사회혁신은 작은 성공에서 출발하여 사회적 문제를 ... ...
주민등록증 이젠 몸 속에 넣고 다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근로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이 칩을 통해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부나 국가도
마찬가지
다. 베리칩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줄 것도 사실이고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명분이든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수집과 일상적인 감시는 인간의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넘었지만 이식수술은 3000여 건에 불과하다. 전체의 17% 수준이다. 다른 나라도 우리와
마찬가지
양상이다. 특히 췌도와 각막의 경우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 수에 비해 이식용 장기가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떠오르는 대안이 사람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이종장기’ 개발이다.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KASBP는 6월 18일 미국 보스톤에서 ‘한미FTA와 세계화‘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세계회를 위해서는 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우선 해외 한인 과학자들을 적극 활용해야죠. 또, 아이디어 중심의 벤처 육성과 전임상·임상을 위한 연구자도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수 있습니다만, ‘개인정보 남는 게’ 꺼림칙해서 헌혈 안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검체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일관성 있는 관리 시스템 마련도 시급해” 김 교수는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국내 바이오뱅크 사업을 하루 속히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및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채 자라지 못한 병아리가 태어나는 불상사가 벌어질 수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
마찬가지
로 임상 연구가 활성화되려면 정부의 지원과 함께 과학자와 의사가 서로 원활히 소통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선 교수는 과학자가 아무리 좋은 연구를 해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가 관심이 없다면 그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