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상
한 짝
대항자
반대자
대면
상대방
고대
스페셜
"
상대
"(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볼 수 있다. 체중 변화를 살펴본 논문 일곱 편을 메타분석해 실험 전후 체중 증감량의
상대
적인 차이를 구해보니 아침을 먹지 않은 그룹이 불과 0.44㎏ 더 많았다. 아침을 먹든 안 먹든 체중 변화 폭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말이다. 한편 하루 칼로리 섭취량을 비교한 논문 열 편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프로선수들이 긴장과 불안을 다스리는 법
2019.03.02
고로 결과는 불확실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으면 불안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대
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고 실력 향상이 적은 편이었던 선수들은 시합을 앞두고 좀 더 열심히 준비했어야 했다던가 ‘너가 하는 일이 항상 그렇지 뭐’ 등 자책이 심한 편이었다. 또한 상상 가능한 최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메냐는 올림픽 여성 800m 3연패 할 수 있을까
2019.02.26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다(위는 하프마라톤, 아래는 5000m). 오른쪽 숫자는 성별이 바뀔 때
상대
적인 능력 변화를 가리킨다. 즉 값이 플러스(+)이면 능력이 높아졌다는 뜻이고 0이면 과거 남자일 때의 영향이 없다는 뜻이다. 분석 결과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스포츠문화 및 정체성 저널’ 및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왜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
2019.02.17
최근 지나친 자격의식과 착취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을 피곤하게 만든 경쟁
상대
에게 보복적이고 가학적인 행동을 취하게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Reidy et al., 2008). 자신이 당연히 가져야 할 무엇을 방해하는 이들을 철저히 응징하겠다는 행동 패턴이 읽히는 부분이다. 연구자들은 ‘비대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
2019.01.19
않을 때에 비해 더 용서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에게 너그러운 사람들은
상대
가 스스로를 크게 자책하든 자책하지 않든 비슷하게 용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적이고 비판적인 양육자가 완벽주의적이고 비판적인 자녀를 만든다는 연구들이 있었다(Amitay et al., 2008).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큰 고릴라 수컷은 대여섯 배에 이른다. 1대 1로 붙으면 사람이 고릴라는 물론 침팬지의
상대
가 되지 않는 이유다. 물론 걷고 달리는 데는 이들이 우리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 사람은 먹을 것을 구하려면 오랜 시간 걷고 달려야 했기 때문에 수면 시간도 줄었다. 하루 9~10시간 자는 대신 7시간 정도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음모론을 잘 믿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력감,
상대
적 박탈감, 낮은 통제감, 높은 불확실성을 느끼는 편이라고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이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에 비해 더 음모론에 쉽게 빠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들이 있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바꾸는 데 쓰였던 백금족 원소인 로듐(Rh)과 이리듐(Ir)과 같이 흔하지 않아 비싼 원소들을
상대
적으로 값싼 철로 대체하는 길이 열린 것이다. 자연계의 화학 성분에는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진화된 효소로 만들어낸 부자연스런 진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살아내는 삶 또한 헛점 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 게티이미지뱅크 따라서 머리 속에서
상대
를 끝없이 악마화하고 극단적인 결정으로 치닫기 전에 ‘혹시 그냥 실수한 건 아닐까?? 요즘 그 사람에게 좀 힘든 일이 많았나? 내가 오해한 것은 아닐까’하고 한번 자문해보는 게 불필요한 비극의 예방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각각 올해와 지난해에 게놈이 해독된 것이다. 중국종은 나무가 작고 잎도 작은 대신
상대
적으로 추위에 강하다. 향과 맛이 섬세하고 카페인 함량이 낮은 중국종은 녹차와 홍차 등 다양한 차로 만든다. 참고로 보성이나 하동에서 재배하는 차나무가 중국종이다. 인도 북동부와 중국 남서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