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다. 전체무게 1백 40t의 거대규모한때 러시아 과학기술의 표상이었던 미르의 가장
큰
특징은 우주공간에서 여러가지 필요한 모듈(소형 우주선)을 결합시켜 커다란 우주정거장을 완성했다는 점이다.미르 우주정거장 건설은 1986년 2월 20일에 무게 20.4t짜리 본체모듈을 발사한 것으로 시작됐다. ...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알았을 때 얼마나 슬프던지.올해의 정월대보름은 좀 특별하다. 이 무렵 올해의 가장
큰
보름달이 뜨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대보름이다. 2월에 보름달이 뜨는 날은 정월대보름 바로 다음날인 2월 8일이다(실제로 음력 보름과 하루나 이틀 차이를 두고 보름달이 뜨기도 한다). 그런데 이날 달과 지구 ... ...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건설때 잡역부로 일하기 시작해 나중에는 허블과 함께 우주팽창의 발견에
큰
역할을 한 밀튼 휴메이슨의 이야기를 연상시킨다.소백산천문대에 들어간 이후부터 그는 사진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다른 관측자들에 비해서 사진을 시작한 것은 상당히 늦은 편이었지만 그의 사진은 일취월장했다. 그가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오늘날의 여과 원리와 유사한 방법으로 여과기를 제작했음이 확인됐다.이 여과기는
큰
통 밑바닥에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조그마한 구멍을 많이 뚫었다. 그리고 이 구멍을 풀이나 잡초 등으로 막은 후 그 위에 여과 보조제로 석회를 깔아 만들었다. 이 여과기로 염료를 제작했다고 한다.중세에는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음성과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는 스트리밍 기술의 발전도 멀티즌의 등장에
큰
몫을 했다. 스트리밍 기술은 파일을 내려받기 시작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동작을 시키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다.여기에 자신을 드러내는데 거리낌이 없고 새로운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점도 작용했겠지만, 판매영업력을 갖춘 기업화에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것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쎌바이오텍은 한국인 유산균 개발의 도취감에서 바로 깨어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사장이 직접 나서 시장 분석, 고객의 요구 및 제품 동향 분석 등 본격적인 마케팅에 매달린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간 백혈구 항원인 HLA(human leukocyte antigen) DR2 유전자와 기면 발작이
큰
상관관계가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후 유럽과 북미지역에서 기면 발작 환자의 90% 이상이 HLA DR2와 비슷한 유전자를 갖고 있음이 확인됐다. 다시 말해 유전적인 이상이 기면 발작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감염을 피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그런데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율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통계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국가와 계층일수록 감염율이 높다. 상·하수도와 같은 위생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한 예로 페루에서 상수도시설이 돼있는 지역에 비해, 시설이 없는 지역의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태어난 적이 있다. 형광유전자를 동물에게 삽입하는 일도 그리 새롭지 않다. 앤디가 더욱
큰
의미를 갖는 이유는 따로 있다. 바로 유전자조작을 영장류인 원숭이를 대상으로 시행했기 때문이다.원숭이는 겉모습부터 인간과 가장 비슷한 동물 중 하나다. 실제 유전자를 비교해보면, 단지 1% 정도만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많았으며, 특히 연쇄적으로 발생해 미르의 안전에 의문을 제기하게 됐다.그 중 가장
큰
사고는 우주에서의 화재. 미르에 앞선 우주선 안에서 직접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적은 우주개발과정에서 2번 있었다. 첫번째는 1965년 지상 발사대에 머물던 아폴로 1호 선실내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였다. ... ...
이전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