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C는 이제 끝, 10년 안에 NC 세상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사용하기도 불편하기 때문이다. 실제 인텔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PC한대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은 8천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PC는 통신과 워드프로세서, 스프레트시트처럼 매우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오라클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싸움은 단순히 두 ... ...
1.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빨리 식었지만, 찬물이 먼저 어느점 0℃에 도달했다. 그런
데
이상한 점은 온도가 -1℃인
데
도 물이 얼지 않았으며 또 물이 얼면서 온도가 약간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 결과를 들고 선생님께 찾아가 실험이 잘 되지 않았다고 말씀을 드렸다. 선생님께서는 물이 아주 뜨거워야 잘된다면서 시범을 ... ...
인간 능력의 또다른 척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이 때 내 기분은 _____(1)화가난다 (2)즐겁다 (3)모르겠다2.나는 혼자서 놀고 있었다. 그런
데
엄마가 나를 꼭 안아주셨다. 이때 나는 _____(1)기분이 좋다 (2)징그럽다 (3)모르겠다3.내가 평소에 소중하게 여기는 장난감을 잃어버렸다. 아무리 찾아도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이때 내 기분은 _____(1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정리됐다.톰슨은 전자를 발견해 파동설을 침묵시켰지만 전자의 전하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는 실패했다. 톰슨의 측정치는 재현성이 없었다. 결국 정확한 측정은 로버트 밀리컨의 손으로 넘어갔다. 밀리컨은 1908년 기름방울법에 의해 전자의 전하가 4.06×10-10 esu(정전단위)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 ...
3. 풍선을 처음 불 때 더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많이 들지만 일정한 점에 다다르면 오히려 풍선을 불수록 힘이 덜 들게 되는 것이다. 그런
데
내부압력이 계속 감소하기만 했다. 이것은 풍선을 불기 시작했을 때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잠깐 사이를 측정하지 못한 까닭이다.지금까지 두 실험과 두 그래프에서 풍선을 처음 불 때가 나중에 불 때 보다 ... ...
Ⅲ. 피라미드가 대장균 없앤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나아가 도형마다 영향력의 세기가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즉
데
와 히
데
오의 도형은 대조구에 비해 대장균의 생장을 45% 수준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에 비해 4종류의 삼태극의 경우 오히려 대조구에 비해서 1백50-3백20% 수준의 다양한 생장 촉진 효과가 있었다.단순히 태극의 ... ...
97년 이끌 컴퓨터 신기술 신경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처음으로 웹 서버와 웹 저작도구 등을 붙임으로써 인터넷과 인트라넷에 초점을 맞췄다.
데
스크톱용은 윈도95와 사용자 환경이 거의 같다. 웹브라우저도 익스플로러 3.0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어 이용자가 보면 두 운영체제를 거의 구분할 수 없을 정도. 운영체제의 조작환경을 통일하고 각종 ... ...
공룡알 판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인도네시아 부근에서는 저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동 태평양상에서는 고압부를 형성하는
데
, 그 기압차는 5-10 hPa 정도로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남방 진동지수(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는 남위 17도와 서경 1백50도에 위치하는 타히티섬과 호주 대륙 다윈의 월 평균 기압의 편차로 나타낸다 남방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하지만 일정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얼마 되지 않아 비상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달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 ...
종이 곤충에게서 얻은 지혜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신문용지나 종이가 누렇게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심지어 만지면 부서지기까지 하는
데
, 종이가 공기나 자외선에 의해서 산화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범은 종이에 남아있는 산성분. 따라서 산성분이 없는 중성지가 오랫동안 보존된다. 우리나라 한지는 양잿물 같은 알카리성 약품을 첨가했기 때문에 ... ...
이전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