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사람"(으)로 총 4,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수학동아 l201204
- 손끝에서 느껴지는 작고 볼록한 점 6개.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인 이 볼록한 점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글자인 ‘점자’다. 그런데 왜 점으로 문자를 만들었을까? 또 점은 왜 6개일까?점자는 비장애인에게 낯선 글자지만, 엄연히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또 하나의 문자다.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과학동아 l201204
- [➊ 화학무기가 첫 등장한 제1차 세계대전. 신경가스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방독면을 쓰고 있다. ➋ 1994년 도쿄 지하철에 사린가스테러가 일어나 순식간에 13명이 죽고 6000명이 부상을 입었다. ➌ 사린가스 폭탄이 담겨 있는 미사일.]1915년 4월 22일 제1차 세계대전 중이었다. 프랑스 솜에서 연합군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04
- 경북 경산에 위치한 박한우 영남대 교수의 연구실에는 구석구석 컴퓨터가 숨어 있다. 연구원들이 쓰는 옆 방에도 본체 뚜껑을 연 컴퓨터들이 가득하다. 마치 컴퓨터공학과 연구실 같지만, 이 곳은 인문대 신관 언론정보학과다.“마침 오늘 오전, 내년에 발간될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통과됐다는 연 ...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과학동아 l201204
- 보스턴(미국), 도쿄(일본), 런던(영국), 베이징(중국)….이 도시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바로 세계적인 과학도시다. 2010년 10월 ‘네이처’ 보도에 따르면, 보스턴은 2000년대 이후 논문 인용지수에서 줄곧 세계 최고를 달리고 있고, 2009년 ‘사이언스’, 네이처,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논문 출판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04
- “규정 타석을 만족시키는 타자 수가 연간 30~40명에 불과해요.”“생각보다 ‘빅데이터’가 아니네요?”지난 3월 10일 토요일 오전 서울 신사동의 한 옥탑방. 이곳에 모인 12명의 사람들이 의외라는 표정을 지었다. 엑셀로 그린 그래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그래도 자료를 여러 사람이 나눠서 검증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04
- 꽃샘추위가 한창이던 3월 12일 오후, 쌀쌀한 바람에 외투를 여미며 외진 곳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건물 안으로 들어섰다.“쿵쿵짝짝, 쿵쿵짝짝…”건물로 들어서자 누군가 드럼을 치고 있는 것처럼 일정한 박자 음이 계속해서 들려왔다. 리듬을 맞추며 발걸음을 옮기려는데 이철현 한국기초과학지원 ...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204
- 노하영 군은 1800명이 넘는 지원자 중 단 30명만 뽑는 창의인재 전형에 합격했다. 그것도 30명 중 4명만 통과한 우선선발로 말이다. 당연히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수험생을 자녀로 둔 이웃부터 학교 후배들까지 모두들 어떻게 했냐고 비법을 물어본다고 한다.“저는 사실 초등학교 들어갈 때 한글 ...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04
- “솔이야, 괜찮니? 갑자기 왠 정전일까…?”으악! 샤워하는데 갑자기 불이 꺼지고 따뜻한 물도 안 나와! 엄마는 가스 레인지도 안 켜진다며 저녁 준비도 못 하고 계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해세계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1년 10월 31일, 인도 북동부 ... ...
- 건축학과학동아 l201203
- 1 건축학이 뭐죠?건축은 수시로 변하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우리의 생명을 보호하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활동이다. 인류문화의 발전과 함께 건축기술도 발달하기 때문에 건축물은 그 시대의 문화를 잘 나타낸다. 건축물을 보면 세계 곳곳에서 인류가 걸어온 문명의 발자취를 볼 수 있다. 역 ...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과학동아 l201203
- 환경 보전 관련 활동을 하는 문산여고 해바라기반은 2011년 대한민국 창의체험 페스티벌 최우수 동아리(여성가족부 장관상)로 선정됐다. 게다가 지난 2월 15일 국회기후변화포럼이 주는 ‘2012 대한민국 녹색기후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도 받았다. 이 밖에도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SESE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