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MOCVD) 반응기를 직접 설계해 결함 밀도가 낮은 높은 품질의 질화갈륨 층을 얻었습니다.결국 1993년 p형 질화갈륨/n형 질화인듐갈륨/n형 질화갈륨의 이중 이종접합 구조를 이용한 고효율 청색 LED를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니치아 화학공업은 청색 LED와 백색 LED를 상용화했습니다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소음공포증을 가진 개의 약 75%가 천둥번개공포증도 갖고 있습니다.doi:10.2460/javma.2001.219.467결국 소음공포증을 겪고 있는 개가 매우 많다는 얘기입니다.필자의 경험에 비춰 보면 한국에서도 여름에 천둥번개공포증으로 고생하는 반려견들이 아주 많았습니다. 민감성소실역조건화 행동치료가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가지고 있다. 이 유전자는 갈색 눈동자 유전자에 비해 멜라닌 합성효소를 적게 만든다. 결국 멜라닌이 소량 합성되고, 파란색 눈동자를 갖게 된다. 즉 유전자에 따라 합성할 수 있는 단백질의 종류와 양이 달라지고, 이렇게 합성한 단백질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 그런데 한 가지 ...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지만 어릴 때부터 특출나게 종이비행기를 잘 날리고 싶은 꿈을 가진 아이는 커서 결국 종이비행기 국가대표가 됐지요. 그리고 국가대표가 돼서 처음 만난 세 명의 선수는 힘을 합쳐 또 다시 이전에 없던 직업을 만들어 냈답니다. 바로 ‘이색 스포츠 마케터’지요. 이색 스포츠 마케터는 이전에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연구팀은 여기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촉매인 ‘인산 올-실리카 제올라이트’를 더해 결국 부타디엔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다웬하우어 교수는 “새로운 촉매를 이용해 95%의 높은 수율로 부타디엔을 합성할 수 있다”며 “고무나 타이어를 더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진화적인 측면에서도 설명한다.김 교수는 “크리스퍼는 결국 세균과 바이러스의 전쟁에서 나온 진화적 산물”이라며 “이를 인류가 유전공학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연 예고: 김 교수는 “수만 년에 걸친 인류의 역사에서 유전정보 전체가 단 한 번의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만 둔 이후 재취업할 때에는 이전보다 더 낮은 소득의 일자리를 잡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결혼과 출산으로 한국 여성의 생애 소득은 줄어들 위험이 커지고, 특히 최근처럼 이혼 건수가 결혼건수의 40%에 육박하는 시대에는 여성들의 생애 소득 감소에 대한 두려움이 클 수밖에 없다. 생기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큰 영향을 받는다. 만약 이 그림에서쥐가 사라진다면 뱀은 먹을 것이 없어 굶게 된다. 결국 뱀의 수도 크게 줄어들것이다. 반면에 애벌레는 자신을 먹던 쥐가 사라졌기 때문에 수가 크게늘어나고, 애벌레가 나뭇잎을 다 갉아먹어 생태계는 곧 무너질 위험에 처한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계여기선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만약 시작보드(A)를 첫 번째 모양(M1)에 맞춰 c1번 뒤집었으면 A+c1M1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결국 시작보드를 뒤집어서 도착보드로 만들 수 있으려면 A+c1M1+c2M2+…+c9M9=B가 되는 c1~c9이 있다는 뜻이에요. 이제 A와 B의 각 칸에 적힌 9개 숫자를 기준으로 써보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어요. 위 식을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포에는 BrdU가 들어가지 않고 세포가 직접 만든 DNA 염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결국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일수록 BrdU를 빨리 잃고, 느리게 분열하는 세포일수록 BrdU를 세포 안에 지니고 있을 확률이 높아집니다(위 그림). 연구자들은 BrdU 표시를 통해 느리게 분열하는 세포를 찾아냈습니다.그리고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