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진
진행
조장
증진
충격
충동
여세
d라이브러리
"
추진
"(으)로 총 2,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만만치 않은 일들로 가득 차 있다.숲은 문화의 터전1992년부터 숲과문화연구회에서
추진
하고 있는 아름다운 숲 찾아가기 행사를 비롯해 숲문화체험학교처럼 숲을 주제로 한 시민·사회단체 일은 모두 전 교수의 관심분야이자 활동영역이다. 그 중에서도 전 교수가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건 녹색문화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일 과학기술처에서 주관하여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고양하고 모든 국민 생활의 과학화를
추진
하는 데 관련된 기념행사를 한다1946년 7월 졸리오 큐리를 회장으로 결성된 세계 과학노동자연맹이 48년 9월 프라하에서 열린 제1회 총회에서 의결한 헌장 자연과학자·기술자·사회과학자의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각국은 정부 차원에서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제한하고 생물농약 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5종의 생물농약의 특허가 등록돼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후 생물농약의 출원비율이 급속히 증가해 1990년대 초반 전체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추진
된 탓에 언론이 입을 봉하고 있는 사이 크고 작은 사고를 동반했다. 발사 전 로켓
추진
체의 연료 폭발은 비일비재했고, 발사 후에 폭발하는 일도 적지 않았다. 1961-1964년까지 달의 근접 촬영을 위해 계획된 레인저 우주선도 6번 발사 모두 실패했다. 1967년에는 우주 비행사 세명이 화재로 죽는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서강대 정순영 교수의 '수학자 10억 만들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신의료기기의 개발 기술은 2001년 산업자원부의 차세대 신기술 개발사업으로 확정,
추진
되고 있다. 이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세계 의료기기 시장을 석권할 수 있다. 그럼 여기에 참여한 수학자는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까. 뇌 자기장을 측정하는 뇌자도 기계를 MRI보다 싼 10억원에 1백대를 팔고, 심장 ... ...
민간 유인로켓, 고도 64km 비행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또 하나의 기념비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스페이스쉽원은 별도
추진
로켓으로 단독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지상으로 복귀할 때는 공중에서 맴을 돌며 모하비공항 활주로에 착륙했다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위험하므로 불꽃의 위험이 없는 공기 호이스트가 사용된다 제트기관의 연소 및
추진
에 필요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 아음속비행(亞音速飛行)을 할 때는 주로 공기흡입구에 이어지는 압축기 입구 단면상의 유속분포를 균일화하면 된다 마이크로파의 공명기로 이용되는 금속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영입은 ‘파격’ 그 이상인 셈이다.이번에 KAIST의 외국인 총장 영입은 최근 과기부가
추진
중인 해외 과학자 유치 프로젝트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19일 정부는 올해 안에 노벨 과학상 수상자 등 해외 우수 과학자 1백10명을 초빙해 산학연 연구현장에 투입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이달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뿐만 아니라 학과내 모든 연구실이 수행하는 복잡한 연산을 책임진다. IBM이
추진
중인 바이오백과사전 프로젝트의 정식 파트너로 인정한다는 뜻으로 지난 2003년 기증한 것이다.전산학을 전공한 이도헌 교수의 바이오정보연구실이 바로 슈퍼컴을 이용해 바이오백과사전을 편찬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리정보시스템연구실, 항공대 항공전자연구실이 참여해 국가적 차원의 개발 사업이
추진
됐다. 건설교통부는 2002년 말 개발 완료된 시스템으로 시험비행 한 결과 위치 오차가 2m 이내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난해 12월 발표했다.이 시스템에서는 공항 주변의 실측 지도를 바탕으로 3차원 가상현실을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