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뇌의 신경활동과 기억, 그리고 학습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가장
핵심
역할을 하는 사람이 겐토였다.그는 아오에 교수에게 겐토가 회복할 당시의 영상을 보여줬다. 겐토는 주사위를 던졌을 때 어떤 숫자가 나올지 미리 맞히는 테스트를 하고 있었다. 놀랍게도 겐토는 주사위가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또 달랐다. 나는 나보다 몇 살 더 나이가 많은 남자의 뇌와 합쳐졌다. 그 남자에 대해
핵심
만 뽑아내 설명하자면, 밤 11시까지 상사한테 낄낄거리며 즐거워할만한 소리를 골라 들려 주는 일을 하며 소주를 마시고 나서는, 자기보다 직급이 낮은 부하직원들만 따로 모아 놓고 다시 술 마시는 자리를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이번 사건처럼 마스크를 쓰고 있어 얼굴 형태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엔 우리 연구실의
핵심
기술인 ‘얼굴 중첩 기술’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얼굴 중첩 기술은 CCTV에 찍힌 범인의 사진(2D 사진)과 용의자를 3D로 스캔해 얻은 3D 사진을 겹쳐 동일인인지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3D 사진이 2D 사진에 찍힌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짤로그’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하면서 주위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결국은 스스로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이었다. 작가로서, 사업가로서 성공하려면 몇 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 꾸준히 노력하고 문을 두드리는 인내가 필요하다.인터뷰가 끝나고 박성진 대표는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을 적어 보내왔다. ... ...
[Editor’s Note] 고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한 손에 쏙 들어오는미니 지식백과 시리즈로, 인포그래픽으로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핵심
을 짚어줍니다. 취재해본 기자만 아는 알짜 진로, 진학 정보도 제공합니다. 정기구독을 서두르세요. 수집은 첫 호부터 해야 제맛입니다. : ... ...
[Nesw & Issue] 생체조직 투명하게 만드는 데 단 6시간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영화 ‘해리포터’에 나오는 투명 망토를 ‘머글’ 세상에서도 만들 수 있게 됐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팀은 생체조직을 초고속으로 투명하게 만들고 염 ... 볼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향후 뇌지도 작성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한 것”이라고 말했다 ... ...
[News & Issue] 찾았다! 양자컴퓨터 만들 위상절연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뛰어난 전기재료를 개발할 때
핵심
은 저항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것이다. 전류가 표면에만 흐르고, 내부는 흐르지 않아 저항이 최소화 된 ‘위상절연체(Topological insulators)’에 적합한 물질을 스위스의 한 연구팀이 찾아냈다.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올레그 야지예프 교수팀은 비스무트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집단이 승리할 가능성이 더 높다.요약하자. 다윈은 이타성의 진화가 진화생물학의
핵심
논제임을 제대로 깨닫지 못했다. 일개미가 다윈을 반쯤 넋이 나가게 한 까닭은, 불임성 일꾼이 어떻게 처음 진화했는가가 아니라 형태적으로 다양한 일꾼 계급들이 어떻게 생겨났는가라는 문제를 던졌기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분들도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계신가요?황용석: 물론입니다. 케이스타 건설에 참여했던
핵심
인재들이 이터가 건설되고 있는 프랑스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터가 완공되는 2040년 즈음에는 현재 케이스타를 운영하고 있는 젊은 과학자들이 뒤이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찾아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윤곽선 또는 실루엣은 사물의 생김새를 파악하는
핵심
수단이지요.동물도 깜빡 속는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신경과학과 뤼디거 폰 더 하이트 교수는 원숭이도 사람처럼 주관적 윤곽선을 본다는 점을 처음 밝혔어요. 하이트 교수는 시각에 관여하는 대뇌 피질의 V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