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어린이과학동아
"
연구
"(으)로 총 12,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쿸런 이야기 3기 14화 제 친우의 어머님께서 하신 말씀을 알려 드릴까요?
포스팅
l
20211205
자신과 동갑이거나 한두살 더 큰 것 같았습니다. 염라: 들어오시게. 소리: 그... 어떤 꿈으로 오신 겁니까? 말씀해 주시면 제가
연구
해서 오겠습니다. 소리는 최대한 차분하게 말했습니다. 염라: ? 내가 알로는 자네는 경력이 뛰어나, 그 자리에서 바로 해설을 해준다고 하던데? 소리: (생각) 이 자, 대체 얼 ...
전염병 2기 01장- 코로나
포스팅
l
20211204
평범하다고 해야하나 음 난 내가 평범하길 바란다. 지금 이순간에 제일 외로운건 나일것 같다. 아빠는 오래전에 돌아가셨고 엄마는
연구
원이라 퇴근을 아주 늦게 한다. 아주 늦게. 엄마 얼굴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일주일에 5분이다. 말도 안되게 들리겠지만 진짜다. 오직 수요일에만 엄마가 10분 늦게 출근하신다. 엄마가 날 깨우다 보면 5분 ...
이게 정말 공룡이라고? 요상하게 생긴 공룡들 TOP 7!
기사
l
20211203
이는 화재를 일으켰죠. 미크로랍토르처럼 깃털은 많은 공룡에게서 발견되었지만 비막은 이가 처음이기 때문입니다. 빨리 이에 관한
연구
가 더 진행되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요상하게 생긴 공룡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진짜 공룡같지 않은 공룡들이네요. 혹시 여러분이 아시는 이상하게 생긴 공룡들을 댓글로 알려주시면 2부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다음에 ...
[지구사랑탐사대] ★9기 수료식 총정리★ 수료대원&수상대원들 모두 축하합니다!
공지사항
l
20211203
직접 라이브에 등장해 올해 탐사에 대한 이야기도 들려주셨답니다^^ 내년에도 재밌는 탐사이야기 부탁드려요~
연구
원님들! 2부의 수료자 발표에는 우리의 영원한 탐사대장님 장이권 교수님이 함께하셨어요^^ 각 생물종 별로 정해진 탐사 기록 수를 채우면 수료종 1개 획득! 3종 이상을 수료하면 지사탐 9기 ...
공포영화를 보면 왜 추워질까?
기사
l
20211202
줄기세포도 활발하게 작동해 모낭을 재생시키고 털이 자라게 된다고 설명했답니다. 아직은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만큼 추가
연구
가 더 필요하겠지만 꽤나 놀라운 사실이지 않나요? 출처: 네이버 블로그 강발헤드스파 오늘은 추위와 공포영화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는 가장 흥미로웠던것이 탈모 치료에 공포영화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였습 ...
[다이노 월드-15] 공룡에 관한 헷갈리는 사실들
기사
l
20211130
안녕하세요, 박시후 기자입니다. 이번에는 오랜만에 공룡 기사를 써보네요. 오늘은 우리가 잘 알고 있을 사실이지만 꽤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실 공룡에 관한 사실들을 가장 최근에 일어난 재추정으로 한 번 ... 여러분에게도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단, 공룡은 화석에 의존하는 학문이니 새로운 화석이 발견되고 새로운
연구
가 진행되면 이 ...
[12월 15일자 읽어줌] 우주에서 망원경을?!
놀이터
l
20211130
12월 15일자 어과동 읽어줌을 공개합니다! 여러분 아래의 물건이 궁금했죠?^^ 이 물건은 바로바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입니다~! 어과동 특집 '우주를 보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기획하신 윤태인 기자님을 모셔서, 사진 속 멋진 물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어요! NASA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ISIM 프로젝트 선임
연구
원이 어과동 친구들에 ...
오미크론 변이가 나타났다!!
기사
l
20211129
트위터를 통해 “오미크론의 감염력이 델타 변이보다 500%까지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20년 가까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연구
해온 미국 복잡계 물리학자 야니어 바 얌 박사도 “오미크론의 전파력은 기존 (바이러스) 대비 6배, 치사율은 8배”라고 추정했습니다. 3위험성:오미크론 변의는 전파력도 강하고 치사율도 높습니다. 그리고 지금의 P ...
guest - 211129 - 1
탐사기록
l
20211129
2021. 07. 11. 강원도 춘천 Hynobius(도롱뇽속) 속에 속한 도롱뇽을 가장 좋아하지만 우리나라에 꼬리체 도롱뇽처럼 아름다운 도롱뇽은 없는 것 같습니다 :) 올해 본 도롱뇽 중 가장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
guest - 211129 - 1
탐사기록
l
20211129
2021. 11. 27. 우포늪 우포늪에서 따오기를 보고 왔습니다. 과거에 많았다고 알려진 따오기 입니다. 1979년 판문점에서 발견된 개체를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 새였습니다. 그러나 2008년 중국으로 부터 따오기를 들여온 뒤 2019년부터 야생 방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직 개체수가 많진 않지만 언제가 옛날처럼 따오기를 볼 수 있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