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력소모↓ 성능↑ 新 반도체소자 개발
2015.09.09
이 층이 전자를 공급해 전자의 이동을 빠르게 했다. 또 새는 전류를 줄이기 위해 이 층의
두께
를 최적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그 결과, 전자이동도는 일반적인 실리콘 기반 소자보다 5배 이상 빠르고, 전력 소모는 화합물 기반 소자의 100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실리콘 기반 ... ...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휴대전화에 적용시키기는 어려웠다”고 말했다. 반면 다이폴 코일을 이용하면
두께
가 3mm 정도의 평평한 전기 수신기를 만들 수 있다. 실용성이 한층 높아진 것이다. 이렇게 좋은 해결법이 있는데 왜 이제서야 개발된 걸까. “루프코일이 성능이 좋으니까요. 지금까지 쭉 루프코일을 써왔으니까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발견되지 않았지만 극지방에 있는 검은 층에서 얼음을 발견했다”며 “검은 층은 약 30cm
두께
이고 수성 표면보다 온도가 낮았다”고 발표했다. 미국국립전파천문대에서 레이더로 표면을 관측한 결과에 따르면 북극에 비해 남극에 얼음이 많았다. 수성이 얼음을 가질 수 있는 건 특별한 자전축 ... ...
담배 오래 피울수록 치매 일찍 온다
동아일보
l
2015.08.25
비만 등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흡연이 지속되는 동안 신경이 손상되어 대뇌피질의
두께
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게 확인됐다”며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을 위해서라도 금연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어디까지 소름 돋았니? 전자피부에 물어 봐
2015.08.21
뜰만큼 그 무게가 가볍다. - 켐니츠공대 제공 데니스 마카로프 독일 켐니츠공대 연구원은
두께
가 2㎛(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한 초박막 전자피부가 지구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들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월 21일 자에 발표했다. 이 전자피부를 장갑에 붙이면 손바닥이 어느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해당하는 넓은 영역의 가시광선을 흡수했다. 기존 기술로 만든 소재에 비해 같은
두께
로도 4배 이상 흡수력이 좋았다. 김 교수는 “초박막 소재를 원자단위로 미세조절하는 기술은 소재의 물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다”며 “향후 종이보다 얇고 구겨지는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위해 포스포린 위에 흡착시켰다. -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흑린(黑燐)을 원자 한 층
두께
로 떼어 내 반도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 인(P)에 고온 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미터·1nm는 10억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연구진은 압력지연삼투 방식에 쓰이는 지름 1㎜짜리 빨대 모양의 삼투막과 이를 10㎝
두께
로 묶은 모듈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염분차발전 뿐만 아니라 해수담수화와 정수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정 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핵심 기술을 이용해 내년부터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노출시켜 단단하게 굳히는 단계를 거쳤다. 이렇게 만든 배터리는 머리카락만큼 얇은
두께
로 표면 위에 입혀도 충·방전이 가능했다.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면 넓은 면적에 입히거나 층층이 만들면 된다. 실험 결과 지름 5㎜ 막대 위에 반복해 감은 경우에도 성능이 유지됐으며 안정성 역시 기존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양희준 연구위원.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 한 층
두께
의 신소재를 이용해 기존 초박막 반도체보다 속도가 50배 빠른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과 양희준 연구위원(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은 에너지 손실이 적고 속도가 빠른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