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뉴스
"
생명체
"(으)로 총 1,30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주변의 주기성에 맞춰 몸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수단인 셈이다. 그런데 사람이라는
생명체
가 과학기술을 지나치게 발전시켜 자연의 순리에 거스르게 되면서 생체시계가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시련을 맞고 있다. 시차가 있는 곳으로의 해외여행이야 흔치 않은 일이므로 별 문제가 아니지만 하루 2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즉 메커니즘을 빨리 규명하려면 가능한 단순한
생명체
를 택해야 한다는 것. 한편 린드퀴스트는 멘토, 즉 젊은 과학자들의 샤프롱으로도 탁월했다. 그녀가 화이트헤드연구소에 있는 15년 동안 100명이 넘는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 학부생이 지도를 받았다. ... ...
화성에서 숟가락 발견?
팝뉴스
l
2016.12.28
사용하는 숟가락이다. 저것이 정말 숟가락이라면 대발견이다. 화성에 숟가락을 이용하는
생명체
가 살고 있거나 살았다는 이야기다 된다. 화성에서 숟가락 비슷한 것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라고 한다. 많은 네티즌들의 관심을 받는 영상이지만, 착각이라고 폄훼하는 네티즌들도 적지 않은 ... ...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약 9조4600억 ㎞) 거리에 있는 별 ‘프록시마 켄타우리’ 주위를 11.2일을 주기로 공전한다.
생명체
가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인 ‘안정적인 대기권’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온도(0~100도)’ 등을 갖췄다. 3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구글 딥마인드의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와 ... ...
외계
생명체
같은 심해 물고기 ‘인기’
팝뉴스
l
2016.12.21
러시아 무르만스크 바다에서 작업을 하는 그의 트위터는 인기 절정입니다. 외계
생명체
보다 더 ‘외계스럽다’는 평가가 가능할 것입니다. 사진 속 물고기도 신기하지만, 수많은 심해 물고기의 사진을 정성스럽게 올린 노력에도 많은 네티즌들이 박수를 보냅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그 특성을 부여하는 물질이다. 메타게놈은 한 종의 게놈이 아니라 시료에 있는 모든
생명체
의 게놈을 뜻한다. 즉 한 번에 한 종씩 게놈을 분석하는 게 아니라 한꺼번에 다 분석할 수 있는 기술 덕분에 가능한 분야다.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들을 모아 또 분석하는 메타분석 논문도 부쩍 늘었다. ... ...
네이처가 뽑았다! 당신이 알아야 할 2016년 최고 과학자 10명!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b의 표면 온도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0~100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생명체
가 살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은 셈입니다. 네이처 제공 ■ 물리학계의 무지개, 엘레나 롱 핵물리학자 엘레나 롱 미국 뉴햄프셔대 박사후연구원은 물리학계에 만연해 있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 ...
세계 두 번째 ‘유전자 교정’ 학회 출범… “미래사회 논의할 교두보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6.12.15
교수는 “유전자 교정 기술을 생태계에 적용했을 때는 새로운 유전체를 가진
생명체
들이 자연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열리게 되는 셈”이라며 “유전자 가위는 지구 생태계와 인류 진화에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 연구팀과 함께 유전병인 황반변성(안구질환) 치료 ... ...
해변으로 밀려온 “심해의 괴물”
팝뉴스
l
2016.12.12
추정은 다양했다. 그 중 일부를 보면 “거대한 바다코끼리” “고래” “미지의 심해
생명체
” 등이다. 과학적인 설명은 조금 싱겁다. 떠돌아다니는 나무 즉 유목에 수천 개의 삿갓조개들이 붙어서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사진은 무섭다. 자세히 보면 검고 긴 털을 가진 것처럼 ... ...
바위를 쪼갠 나무 ‘눈길’
팝뉴스
l
2016.12.10
냈을 것이다. 그리고 오랜 세월이 지난 후 나무가 승자가 되었다. 바위에 비하면 연약한
생명체
인 어린 나무가 기적 같은 일을 이루어냈으니, 작은 감동을 주기에 충분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