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기문 "미세먼지 해결에 사회적 비용 불가피. 국민 총의 모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주장했다. 반 위원장은 “다양한 분야의 체질을 개선하려면 개인적으로는 크고
작은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고, 적지 않은 사회경제 비용이 수반될 수도 있다”며 “합의에 이르려면 갈등이 일시적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으나 집단 간의 비타협적인 대결이나 정쟁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 ...
다이어트 방해하는 '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결과 회백질 중에서도 특히 음식에 대한 보상회로와 운동을 담당하는 영역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커스 연구원은 "식욕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비만해지기 쉽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비만도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비만할 때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저등급 ... ...
“우주에서 활약할 ‘
작은
변신 로봇’ 만들고 싶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로봇은
작은
로봇에는 무리없이 응용할 수 있지만, 규모가 커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작은
모터를 이용하는 만큼 자체 무게가 커지면 통제가 쉽지 않다. 하지만 백 교수는 “우주 건축이라면 이야기가 다르다”며 “대량생산이 쉬운 2차원 형태의 가벼운 로봇을 우주로 보낸 뒤 조립을 통해 3차원 ... ...
"스페이스IL 실패했지만 더 싸고 빠른 우주탐사 모색한 가치있는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실패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반응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11월 향후 10년 동안 달에
작은
탐사선을 보낼 계획을 세운 NASA는 20억달러를 투자할 9개 민간 기업을 선정했다. NASA 당국은 선정 당시 확실한 성공보다는 빠르게 미션을 수행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스페이스IL처럼 일부 미션을 실패할 수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이는 자동차를 하루 24시간 6개월 동안 몰 때 나오는 양이다. 또 냉매를 쓰는 냉각기술은
작은
크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냉매를 쓰지 않는 냉각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사실 냉매 대신 고체를 쓰는 냉각 시스템은 이미 상용화돼 있다. 이 고체는 열전효과를 내는 재료다. 19세기에 발견된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오브젝트끼리 맞물려 움직인다.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더라도 그것들 사이에 정보 교환이
작은
양이라도 필요할 수밖에 없다. 신호 다루기가 먼저 진행돼야 하는 이유다. 엔트리는 아이들을 위한 것이다. 당장 컴퓨터가 꼭 계산하는 기계여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자신이 조종할 수 있는 장난감이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덧붙였다. 자철석 모형은 한마디로 우리 몸(아마도 뇌)의 세포 안에 나침반 역할을 하는
작은
자석이 존재해 지구자기장을 감지한다는 가설이다. 실제 사람의 뇌에도 자철석 결정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진화적으로 오래된 영역인 뇌간과 소뇌에 농도가 높다고 한다. 한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
2019.03.23
감소하고 부정적 정서(짜증, 슬픔)는 증가한 경향이 나타났다. 100점 만점에서 3점 정도의
작은
변화였지만,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는 큰 사건사고가 사람들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인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나아가 연구자들은 어떤 사람들이 간접 트라우마에 취약한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F. x ananassa)가 태어난 것이다. 파인애플딸기가 한국에 소개된 건 100여 년 전이다.
작은
야생 딸기(흰땃딸기의 직계조상)가 수백만 년 전 시작한 여정이 수많은 세대를 거치며 지구를 한 바퀴 돌아 큼직한 재배 딸기가 돼 먼 조상의 고향으로 돌아온 셈이다. 숲딸기 게놈이 우세 수많은 딸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사람이 쓴 교재에서 유래됐다. 사진은 당시의 필기 버전. "Hello world!"를 출력하면 코딩의
작은
역사가 시작됐다고 말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대신 엔트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의 코딩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로 했다. 당장 세 번째 교육부터 그렇게 진행했는데, 예상한 바와 같이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