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시작했다. 그리고 3
년
만인 1981
년
복제품인 ‘화성 5호’ 미사일 개발에 성공한다. 또 1987
년
엔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는, 사정 거리 500km 수준의 개량형 ‘화성 6호’도 만들었다.북한은 한발 더 나가 1993
년
자체 모델인 ‘노동 1호’ 미사일을 만들었다. 30t의 추진력으로 사거리가 1000k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이야기 속에서 가장 오래된 뱀은 무엇일까. 아담과 이브에게 선악과를 먹게 해 에덴 동산에서 쫓겨나게 만든 뱀이 아닐까. 그렇다면 뱀의 캐 ... 줬고 때로는 지혜의 상징으로 존경을 받기도 했다. 새롭게 시작하는 뱀띠 해 계사
년
. 뱀이 지닌 변화무쌍함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보면 어떨까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화석의 연대가 측정되자 시름은 더 깊어졌습니다. 아프리카의 에렉투스와 동시대인 180만
년
전이었습니다.이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런 시나리오를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에렉투스 이전에 이미 작은 머리와 몸집을 지닌 인류 조상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허술한 도구를 가지고 아프리카를 ... ...
성층권에 다녀왔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프로젝트를 하면서 학생들은 부쩍 성장했다. 처음엔 서먹했던 친구들도 더 친해졌다. 3학
년
한찬수 학생은 “팀워크를 통해 성공했기 때문에 기억에 오래 남는 동아리 활동이 됐다”고 말했다. 이 모든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조력자 역할을 한 김현정 선생님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아이들이 스스로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을 중심으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컨소시움이 지난 3
년
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몸에는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종의 세균이 살고 있다.가장 다양하고 많은 세균이 살고 있는 부위는 대장으로, 약 2000종 정도가 발견된다. 소장, 피부 등 다른 환경까지 고려하면 한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된다.(우리 은하는 은하단보다 작은 규모(40여개의 은하)인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다).1933
년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즈위키는 은하단에 속해 있는 은하의 이동속도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은하단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은하단의 추정질량을 통해 계산해 보았을 때 은하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태풍이나 허리케인보다 약간 작은 규모인 직경이 약 500km이며 24~36시간 동안 지속된다. 1
년
에 수백 차례 이상 발생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폭풍을 예측할 수 없었고 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규명하지 못했다.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이 중간 규모 폭풍을 만들어 바람이나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의 적은 보일러 말썽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불과 24시간이면 시추공이 다시 얼어붙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수백만
년
동안 외부환경과 단절돼 있던 엘즈워스 호수 아래에서 새로운 생물을 포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주변에서 먼저 유전을 찾는 쪽이 임자”라고, 지질조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2028
년
이 되면 7광구를 포함하고 있는 한일공동개발구역 협정이 끝이 난다. 한 본부장은 “일본이 공동개발구역 협정 시한 연장에 동의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해당 구역의 대륙붕 개발과 경계선 획정에 길고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가죽을 붙잡은 뒤 오른손으로는 돌칼을 잡고 내려치기 때문이다. 이 분석을 토대로 50만
년
전 인류의 93.1%가 오른손잡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현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왼손잡이가 11%라는 것과 비교하면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오른손잡이 비율이 현대에 비해 더 높다.연구진은 이 시기에 ... ...
이전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
10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