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휴대전화로 모기를 감시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는 무서운 질병을 옮기는 ‘질병매개곤충’이에요. 전세계 각국에서는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1년 중 언제 어떤 모기가 나타나는지, 실제로 병원균을 갖고 있는지 등을 감시하고 있어요.그런데 시민들 ... ...
- [과학뉴스] 사람 얼굴 알아보는 똑똑한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원숭이가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고, 아주 작은 특징까지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사람의 얼굴을 미간 거리나 이마 너비 등 50가지 특징으로 분류한 후, 짧은 꼬리원숭이에게 다양한 얼굴 사진을 보여 줬어요. 그리고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를 찍어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편집자주 -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돌이켜 보면, 지옥문을 열어젖힌 책임은 전적으로 내게 있었다. 공중파 뉴스에 나갈 인터뷰를 그렇게까지 호들갑스럽게 해버린 건 그 누구도 아닌 내 의지에 따른 일이었으니까. 물론 남부 지방의 갑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월 7일 최종 심사를 거쳤고, 여기서 3개 팀이 본상 수상팀으로 결정됐다. 최우수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은 학부생으로 구성된 아주대 팀에게 돌아갔다. 2차원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월 6일 부산 수영구에 위치한 예스24 중고서점 F1963점. 2주 전부터 서점 안에는 로봇이 돌아다니고있다. 이 로봇은 예스24와 네이버랩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자율주행 책 운반 로봇 ‘어라운드(AROUND)’다. 매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어라운드가 반긴다. 바퀴가 달려 있어 울퉁불퉁한 바닥도 잘 다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안녕! 나는 남극 킹조지섬의 나레브스키 포인트에서 살고 있는 ‘제니(젠투펭귄)’야. 해마다 옆 마을인 세종과학기지에서 수많은 과학자들이 우리 마을을 방문하지. 2009년에 우리 마을이 남극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뒤로는 허가받은 과학자들만들어올 수 있어. 예전에는 몇 명만 들어와서 특별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고백부부: 스무살 때 웜홀을 만들었더라면 줄거리: 잘 나가던 캠퍼스 커플 마진주(장나라)와 최반도(손호준). 오랜 연애 끝에 결혼에 골인하지만 행복함도 잠시, 아내는 육아에 남편은 일에 지쳐 이혼을 선언한다. “모든 것을 다 되돌리고 싶다”고 말하는 부부. 다음 날 놀랍게도 18년 전 대학 신입 ...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재난현장에서 수색과 구조 활동을 펼치는 인명구조견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용 슈트가 개발됐다. 활동 중인 구조견의 상태를 슈트로 시각화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노 카즈노리 일본 도호쿠대 미래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교수팀 등 공동연구팀은 구조견의 심전도와 활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파고’는 어느덧 인공지능과 동의어가 됐다. 의료, 법률, 금융과 같은 전문분야는 물론이고, 축구나 예능에서조차 인공지능을 뜻하는 용어로 알파고가 쓰인다. 심지어 최근에는 인간이 제공한 데이터 없이, 무(無)에서 출발해서 혼자 가상 대국을 하며 스스로 기력을 쌓았다는 알파고 ‘제로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