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율주행기능이 무용지물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심 교수는 “무인항공기의 경우 하늘길이 변하지 않고, 공항의 변화도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정밀지도를 구축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도로 사정을 정밀지도에 시시각각 반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AI가 훈련부터 ...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앞발로 흙을 팔 때도 육아낭 안으로 모래가 들어가지 않거든요. 이렇게 만든 땅굴은 길이가 최대 30m에 달하고 여러 개의 입구와 방으로 이루어져 있지요.혹시 호주 여행을 하다 웜뱃을 만나면 콧잔등을 유심히 보세요. 애기웜뱃, 남방털코웜뱃, 북방털코웜뱃 3종의 웜뱃 중 애기웜뱃만 콧잔등에 털이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중로봇은 ‘씨로버(Sea Rover) R100’. 씨로버 R100은 교육용으로 제작된 수중로봇이다. 길이 36cm, 폭 34cm, 높이 12cm로 무게는 약 5kg이다. 물속에서 최대 2노트로 움직일 수 있다. 씨로버 R100의 특징은 스마트폰에 연동해 조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에서 애플리케이션(앱)을 실행하면 화면에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그런데 거긴 아니래. 교생쌤이 있었던 위쪽은 끝없이 길이 이어져있대. 아무리 걸어도 길이 있다는 거야. 신기한 건 절친이 있는 곳은 아래쪽이 그렇대. 둘 다 옆으로 가면 대각선으로 걷게 된대. 교생쌤 말로는 본인이 있는 곳과 절친이 있는 곳을 연결해야 뫼비우스 띠래. ▼관련기사를 계속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4월에 샛노란 꽃을 피우지요. 이때 암그루와 수그루의 꽃 모양이 달라요. 수꽃은 길이가 2~3cm 정도로 노란색 수술이 빽빽하게 나 있는 반면, 암꽃은 4~7cm 정도로 조금 더 길며 녹색 암술이 비교적 덜 촘촘하게 나 있답니다. 흔히 호랑버들의 꽃이라 알려진 건 대부분 수그루의 꽃이지요. 산을 오르다 ... ...
- [매스미디어] 도시어부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물고기가 날씨나 조류, 해수 온도에 따라 이곳저곳 이동하기 때문이죠. 물 속 상황을 알 길이 없는 도시어부들에겐 그저 시간과의 싸움이 정답일까요? 2016년 매튜 바비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과 제임스 왓슨 스웨덴 스톡홀름복원력센터연구원은 낚시꾼끼리 서로 물고기 위치 정보를 ... ...
- Part 4. 행성 탐사로 지구를 이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지표면 아래의 정보를 수집해요. 이때 사용되는 주요한 장비는 두 가지예요. 하나는 5m 길이의 탐침이에요. 기다란 탐침을 화성 지각 아래로 찔러 땅 안에 있는 열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할 수 있어요. 또 다른 하나는 ‘지진계’예요. 지진계는 지각이 움직이며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해서 지진파를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특정할 만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유일한 흔적은 A씨를 묶었던 테이프에 묻어 있던 길이 1cm 남짓의 ‘쪽지문(일부분만 남은 조각지문)’ 하나였다. 불완전한 그 지문마저도 테이프에 인쇄된 글씨와 겹쳐져 있어 식별하기가 어려웠다. 결국 이 사건은 미제로 남았다. 그런데 사건 발생 12년 만인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필요한 힘은 어마어마해집니다. 미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매튜 패트릭은 망치의 길이를 1m 18cm로 추정했습니다. 게임 속 런던 공중전화 부스 높이와 망치 높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비례식에 실제 공중전화 부스의 높이인 2m 51cm를 대입했죠. 주인공은 3m도 안 되는 거리를 움직일 때마다 자기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팀은 육면체 지구의 질량이 실제 지구와 같다고 가정하고 계산한 결과, 한 변의 길이가 약 9340km인 정육면체라는 결과를 얻었다. 구형을 제외했을 때 정육면체가 가장 안정된 구조 중 하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실제 우주에서 정육면체 모양의 천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 고재현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