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수학체험실] 오늘 무슨 요일이야? 새해 달력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1월부터 12월까지 적혀 있지요. 한 달(월)은 28~31개의 ‘일’로 이뤄져 있어요. 또, 고대 사람들은 7일을 기준으로 날(일)에 이름을 붙였어요. 그게 바로 ‘요일’이에요. 태양계의 천체인 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의 순서로 일, 월, 화, 수, 목, 금, 토요일이 되었답니다. 달력에서 올해의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국제우주정거장과 지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지구의 ‘지름’이라고 부르지요. 지구의 나이는 약 4,500,000,000살이고,약 8,000,000,000명의 사람이 살고 있어요. (2022년 기준) 용어 설명 공전★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주변을 일정한 간격으로 되풀이해서 도는 것을 말해요. 직선★ 꺾이거나 굽은 데 없이 곧게 뻗은 선이에요 ...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만든 소프트로봇이 수영 속도를 4배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개발팀은 향상된 수영 동작이 사람이 접영(butterfly stroke)을 할 때의 팔 움직임과 비슷하다는 데 착안해 소프트로봇에 ‘나비봇’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은 제트 엔진이나 프로펠러와 같은 추진체 없이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업적 중 하나다. 그런데 차일링거 교수는 “이것은 스타트렉에 나오는 것과 전혀 다르다. 사람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양자전송은 얽힘을 이용해 정보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양자역학적 순간이동 특집을 준비하며 기자가 만난 과학자들도 입을 모아 “양자전송은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 교수에게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해 물어보았다. “이그노벨상을 받은 후부터 주변 사람들이 제게 자꾸 이상한 똥에 관한 소문을 알려줘요. 최근에는 흰개미가 육각형 똥을 눈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연구 소재로 어떨지 관심을 가지고 있답니다! (웃음 ... ...
- [뉴스&인터뷰] 칼 세이건에 ‘진심’인 사람들 강남 한복판에 모이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불금이던 2022년 12월 9일 저녁 7시. 서울 강남 한복판의 전시장 문을 열고 들어가자 파티 현장이 펼쳐졌다. ‘우주정거장에서 EDM 파티가 벌어진다면 이런 느낌일까’ 싶을 정도로 이질적인 공간이었다. 한쪽 벽에는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강연 영상이 재생되고 있었다. 기자가 방문한 곳은 콘 ...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등도 교통을 계획할 때 알아야 하는 중요한 요소다. 대학원에선 이 모든 것을 고려해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수송하려는 통행 수요가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발생할지, 어떻게 도로와 철도, 공항과 항만 등의 교통 인프라를 적정한 수준으로 공급할 수 있을지 예측하는 연구를 했다. 현재는 그 경험을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모였다. 과거와 같이 한 평의 땅을 쓸데 없이 차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공간은 산 사람의 것이었다. 핍은 문득 블랙홀을 떠올렸다.‘없는 공간이라. 그것도 사고 팔 수 있으려나.’핍을 태운 우주선은 은하 간 아주 짧은 거리를 내달리고 있었다.*이 콘텐츠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XX년 미래의 지구. 사람들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 시스템 구축에 성공했어요. 일리 특파원이 과거로 돌아가 친환경 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개발한 유럽우주국(ESA) 연구원을 취재했습니다. ESA의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 뭔가요? ‘솔라리스’ 프로젝트는 우주 공간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설에서 ... ...
-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셰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성질이나 형태를 바꾸는 것이 분자요리거든요. 라면처럼 간단한 레시피라도 요리해본 사람이라면 분자요리를 한 거예요. 다만 자신이 잘 모르고 있을 뿐이죠. 전통적인 주방에서는 요리를 배울 때 경험적으로 배우는 경우가 많은데, 분자요리를 통해 요리의 기초 원리를 배운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