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1472-5). 노들이라는 하나의 단백질이 자신을 억제하는 단백질까지 함께 만들어 서로 다른
세포
의 운명을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모델(reaction diffusion model)’이라고 부릅니다. 이 모델은 생물학자가 아닌,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해독학자였던 앨런 튜링이 처음 제안했습니다. 영화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연구원은 “동일한 신경
세포
에서 신호가 발생해도 그 신호의 진동수에 따라 전혀 다른 경로로 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김 연구원은 이 내용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준비 중이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해캄은 표면이 점액으로 덮여 있어서 만지면 미끈미끈한 느낌이 든답니다.해캄의
세포
속에는 광합성을 하는 엽록체가 들어 있어요. 그 덕에 물속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빛을 쬐어서 스스로 양분을 만들 수 있지요. 해캄이 초록색인 이유는 엽록체 속에 초록색 색소인 엽록소가 들어 있기 ... ...
[과학뉴스] 흡연이 대장질환 유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단백질(인터페론 감마)이 대장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유전적으로 Th1
세포
와 인터페론 감마 단백질이 결핍된 쥐는 흡연에 노출돼도 대장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배 교수는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흡연과 대장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며 “크론병과 같은 난치성 대장염 치료법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DNA 조각이 있습니다. 이런 DNA를 ‘무
세포
DNA’라고 합니다. 임신부의 혈장에서 채취한 무
세포
DNA로 태아의 유전 이상을 검사하기도 하지요. ‘혈관 속 DNA’는 맞는 가사입니다. 네 후보의 매력이 막상막하여서 이그뮤직상을 뽑기가 무척 힘들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후보로 소개한 곡을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통해 양성자가
세포
속으로 흘러가면 모터가 회전했다. 만약 유영하던 세균이 숙주
세포
의 점막 표면에 닿으면 모터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했고, 이 때 양성자의 흐름이 차단됐다. 그러자 카울로박터는 표면에 스스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부착 물질을 생성하기 시작했다. 모터가 숙주의 점막 표면을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컴퓨터 프로그램을 고안했다. 망막에 있는 신경
세포
중 ‘알파 아마크린(alpha amacrine)
세포
’는 명암의 변화 부위를 감지한다. 여기서 힌트를 얻어 얼굴 사진에서 밝기가 변하는 지점을 찾아 가로세로 3개씩 특정한 값을 갖는 9개 픽셀(이미지의 단위)마다 ‘마스크’를 씌운 뒤 이 부분의 수치를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마루야마 과장은 “유도만능줄기
세포
(iPSC)를 통한 재생의학이나 지난해 새로 개설한 인공지능(AI)센터 등을 통해 미래사회를 바꿀 기초과학 연구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덕후’들의 성지로 알려진 독일 남서부 도시인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른다는 뜻이지요. 노화와 죽음을 모르는 우리 단
세포
생물과 다르네요. 단
세포
생물은
세포
한 개로 이뤄져 분열이 곧 새 삶이거든요. 진시황제님, 영원히 살겠다는 꿈은 거두세요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렇게 설명을 하곤 해요. 과학에서 현미경이 발명된 덕분에 생명체를 이루는
세포
와 그 구조에 대해 알게 됐잖아요? 제가 하는 일도 비슷해요. 수학적인 대상 중에 집합에 해당하는 요소에 관한 연구를 해요. 예전에는 요소 각각이 뭔지 몰랐지만 카테고리화 이론이라는 것을 쓰면 요소를 조금 더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