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특이
"(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구조를 해석함에 따라 단백질 합성의 메커니즘을 좀 더 상세히 알게 됐는데, 그중에서
특이
할 만한 점이 rRNA의 촉매작용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내 화학반응에 작용하는 촉매는 단백질(효소)인데, 1970년대 후반부터 rRNA도 촉매기능을 한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나오기 시작했다. 올해 라마크리슈난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기반으로 삼았기에 다른 분야에서도 튼튼한 입지를 굳힐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이
한 점은 수학 전공자 출신으로 노벨 과학상을 받은 이들 대부분이 우리나라 대학교에 초빙돼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노벨 과학상 속 수학자 올해 이화여자대학교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가문은 15~17세기에 걸쳐 피렌체와 토스카나 지방을 지배한 이탈리아의 유력한 가문이다.
특이
하게도 무력이 아닌 재력과 정치력으로 권력을 잡았으며, 형식상으로는 끝까지 시민의 일원으로 남았다. 이들은 시민과 친숙해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으며 학문과 예술에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약하더라도 반응했다. 첸 교수는 “GRPR을 가진 척수신경세포는 가려움만 뇌에 전달하는
특이
신경세포”라며 “가려움과 통증은 전혀 다른 신경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가려움만을 느껴 뇌로 전달하는 제5의 수용기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북북’ 긁으면 시원한 이유가려운 부분을 북북 긁으면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찾아가 볼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있는 나라도 마찬가지인데요, 이 곳 사람들이 최근
특이
한 결정을 내렸다고 합니다. 어린이들과 관련이 많은 문제라고 하니 어린 펭귄들은 눈을 크게 뜨고 봐 주세요. 현장 연결하겠습니다! 이슈 소개이제부터는 우측보행 이 곳은 아시아 대륙 동쪽 끝에 위치한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현실 세계에 적용하기에 인과법칙에 맞지 않는, 그래서 이름도 ‘마술적 사실주의’인
특이
한 문학기법을 사용했던 보르헤스의 이력을 감안한다면 이 백과사전은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프랑스의 철학자인 미셸 푸코(1926~ 1984)는 그의 저서 ‘말과 사물’에 보르헤스의 이런 기괴하고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줍게 웃었다. “어려서부터 눈에 띄기보다는 조용하게 지내는 걸 좋아했어요. 그래서
특이
한 이름이 부끄러울 때도 많았죠. 제 연구도 제 이름과 닮아 있어요. 당장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보다는 기초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기초를 확실히 다져주면 응용 분야에 더 큰 효과가 날거라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아침에 생각난 아이디어를 잊지 않기 위해 하루 종일 침대에 앉아 있었다고 하는 뉴턴의
특이
한 습관은 수은중독이 일으킨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왜 뉴턴은 수은중독에 빠질 만큼 과도한 중금속 실험에 매달렸을까?아마도 뉴턴은 자연과 우주의 비밀을 밝혀 줄 단서를 찾고자 한 것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영상이 개발되면서 충족됐다. X선은 굴절하거나 반사하지 않고 직진하는 성질만 있다. 이
특이
한 직진성 덕분에 X선은 물체를 만났을 때 그대로 통과하거나 흡수되는데, 물체를 통과하고 남은 빛을 감광필름에 쬐면 물체 내부의 모습이 찍혀 나온다.그렇다면 꽃에 X선을 쬐면 어떨까. 과연 꽃잎들로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신경과학연구소의 구이 룰루 박사팀도 생쥐에서 SOD1 변이 유전자를 운동신경세포에만
특이
적으로 발현시켰을 때 운동신경세포가 사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루게릭병에서 일어나는 운동신경세포 사멸이 단지 운동신경세포 내부에서만 일어나는 세포 독성의 결과가 아니라는 뜻이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