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뉴스
"
사용
"(으)로 총 16,32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보는 노벨상]② 인류를 위한 에너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25.03.01
개선되고 있습니다. 에너지를 구하기 힘든 아프리카 지역에선 태양전지를 활용해
사용
할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는 ‘에너지 민주화’를 추구하고 있다. GlobalGiving 제공 페로브스카이트는 에너지의 민주화를 앞당길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에너지 민주화는 에너지를 만드는 자본과 권력 ... ...
[사이언스영상] 냉장고 정리를 로봇에게 부탁해
SEIZE
l
2025.03.01
로봇도 피겨02다. 영상 속에서 피겨02 두 대는 인공지능 헬릭스AI로 구동된다. 이 둘에게
사용
자가 장을 봐온 물건을 주며 정리하라고 주문하자 둘은 물건들을 알아서 정리하기 시작했다. 냉장식품은 냉장고에, 쿠키는 서랍에 넣는 식이다. 또하나 독특한 점은 두 로봇이 협동한다는 것이다. 멀리 있는 ... ...
국제우주정거장의 멸균 환경, 우주 비행사 건강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토양과 수계 환경의 미생물은 거의 없었다. ISS의 청소 및 소독 과정에서 항균제가 다량
사용
되며 이로 인해 미생물 다양성이 더욱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ISS 내부 미생물 군집은 각 모듈(생활 공간)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사 공간에서는 음식 관련 미생물이 ... ...
유방암 수술, 절개 방식에 따라 '감각 상실' 정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절개했다.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 정도 확인을 위해선 바늘통각검사를
사용
했다. 유두와 유륜을 총 5개 구역으로 나눈 후 각각 구역마다 통각이 느껴지는 정도를 평가해 점수를 매겼다. 총 10점 만점 중 3점 미만인 경우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상실로 처리했다. 분석 결과 유방 아래 주름 ... ...
"한국이 주도하는 우주망원경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있다." 또 베라 루빈 망원경처럼 제작에 참여하진 않더라도 분담금 형태로 데이터
사용
권리를 확보하고 있다. 천문연뿐 아니라 국내 천문학계에서 망원경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Q. 우주위험, 우주물체 감시 전문가인데 우주쓰레기 문제나 소행성 충돌 위험에 대해 어떻게 ... ...
양자컴 오류 정정 효율 높이는 '고양이 큐비트'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더 다양한 값을 중첩 상태로 가질 수 있는데 그중 안정적인 상태 2가지를 골라 큐비트로
사용
하는 게 고양이 큐비트"라고 설명했다. 비트 플립과 위상 플립 오류가 모두 남아있는 경우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큐비트를 격자 모양으로 배치해야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큐비트는 비트 플립 오류를 ... ...
월성 1호기 원전 해체 본심사 착수…1년반 뒤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한수원이 신청한 원자력이용시설 운영변경허가(안)도 심의·의결됐다. 만약 원전에서
사용
후핵연료저장조 냉각 기능 상실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주제어실 운전원의 안전을 위해 비상공기정화 계통을 통해 정화된 외부공기 유량을 보충하도록 하는 설계변경 내용이 담겼다. 설계 변경으로 인한 ... ...
전자 에너지 자유자재로 제어…양자컴 큐비트 성능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이용한 에너지 필터는 요리에
사용
하는 ‘채’와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만 통과하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전도성 채널이다. 연구팀은 양자점에서 단일전자를 생성한 후 양자 포인트 접합에 적절한 전압을 가해 에너지 필터를 ... ...
인공 환각 줄인다…의심하고 검증하는 AI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대규모 AI 모델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확인했다. 챗GPT나 딥시크 등 AI 모델은
사용
자가 입력한 내용에서 맥락 정보를 추정하고 전문가 시스템에 매칭해 답변을 낸다. 반면 뇌는 추정한 맥락(가설)을 의심하고 의심이 확인되는 즉시 새로운 맥락을 받아들인다. 이는 할루시네이션을 ... ...
달 남극서 최초로 얼음 찾는다…美 인튜이티브머신스, 두번째 달착륙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루나 트레일블레이저가 보내온 정보를 이용해 '물 분포도'를 만들어 향후 얼음 채취에
사용
할 예정이다. 이날 팰컨9에는 채굴 가능한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한 최초의 탐사선 '오딘(Odin)'도 실렸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