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콘택트(Contact)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뒤인 1985년. 그 작품이 바로 '콘택트'다.콘택트가 나름대로 진지하고 훌륭한 작품이지만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하자, 세이건은 다시 대중과학서 집필에 몰두해 아내인 앤 드루얀과 공저로 '혜성'(1985), '창백한 푸른 점'(1994) 등의 책을 냈다. 원래 영화 시나리오이기도 했던 그의 소설 콘택트는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혜성을 찾는 고전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50mm 대형 쌍안경이나 10-16인치 구경의
큰
반사망원경을 사용해 직접 눈으로 하늘을 살피거나, 아스트로 카메라로 불리는 밝고 시야가 넓은 망원경으로 사진을 찍어 찾는 것이다. 햐쿠다케를 포함해 150mm 쌍안경을 사용하는 일본의 안시 탐색자들은, 일몰 ... ...
전세계 위협하는 결핵의 부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결핵균이 다시 세계를 떠돌고 있다. 항생제로 인해 거의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던 결핵이 1980년대 이후 다시 등장해 이제는 해마다 2백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결핵으로 죽어가고 ... 그러면 결핵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질 여유를 주게 된다. 결국 병을 고치려다가 더
큰
병만 만든 셈이다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다음과 같다. 밝은 핵을 갖는 타원왜소은하와 같은 왜소은하들이 우리은하 같은
큰
은하에 포획돼 왜소은하의 핵을 제외한 부분은 모 은하의 조석력에 의해 깨지고 흩어져 헤일로의 별을 이루었다. 또한 은하의 조석력을 견딜 수 있는 핵이나 성단들은 마치 거미 새끼가 알집에서 부화해 사방으로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점 등을 훤히 다 깨닫고 있었다는 얘기다. 여기에 서로 돕고 사는 공동체 생활도
큰
몫을 했다. 강화도 부근리에 있는 고인돌 덮개돌은 무게가 무려 1백여t이나 된다. 이렇게 거대한 고인돌을 세우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협동했음은 물론이다.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지기 시작고인돌을 발굴해보면 ... ...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할 수 있다.하지만 이런 수술은 국소마취로 하는 작은 수술이다.만약 호흡마취가 필요한
큰
수술은 여러 명의 전문 동물의사와 수술시설이 필요하므로 일반 동물병원에서는 하기 어렵다.이런 동물환자는 서울대 부속동물병원(원장 권오경 교수)으로 보내진다.1997년 서울대 관악캠퍼스에 문을 연 ... ...
생명의 신비에 도전하는 셀레라지노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있는 것이다.황금의 알 낳는 생명공학 벤처기업생명공학 벤처와 정보통신 벤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투자 회수 기간과 제품의 수명에 있다. 정보통신 벤처는 단기간에 승부를 볼 수 있는 반면 생명공학 벤처는 장기간의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신약을 개발할 때 보통 연구개발에만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누구나 한번쯤 우주에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특히 여름날 밤하늘에서 쏟아지는 별들을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 별들이 수천 ... 갖는 특성들이 이론적으로 더 잘 규명될 수 있고, 나아가 우주의 진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과학적 내용을 상상력으로 포장한 공상과학(SF)은 20세기에 모든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아 대중문화의 한 축이 됐다. 특히 SF영화는 오늘날 대중들이 가장 많이 즐기는 여가생활의 한 양식으로 자리잡았다. 동시에 엄청난 경제적 부가가치를 가져다주는 산업이 됐다.SF영화는 그 성격상 ... ...
Ⅱ. 신나는 과학수업의 현장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교사는 “여러분들이 말하듯이 시험만 보고 나면 잊어버리는 지식을 많이 배운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과학을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더 도움될 것이다. 이것은 배운 지식을 효과적으로 기억하는데도 좋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탐구과정을 체득하면 실험을 하고 개념을 이해하는데 ... ...
이전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