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투스의 입시정보] 지구환경과학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지구, 지구가 처한 문제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관심이 있을까요?선조들도 피할 수 없던
자연
재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앞으로도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합니다.그럼 지구환경과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지구환경과학과 > 바로가기 - 서울대 ... ...
수학으로 만든 장난감들의 사연 토이스토리4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정교한 조작이 가능해. 픽사는 이 방법을 거의 모든 작업에 이용하고 있어. 이외에도
자연
환경에서 반사되는 빛부터 천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에 수학을 쓰고 있지. 지금 공부하는 수학 내용이 토이스토리의 매력 만점 캐릭터를 만들어 냈다니 놀랍지? 자, 그럼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성질을 연구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보여줄 자료가 많지 않아요. 반면 과학과 공학은
자연
현상이나 사물을 연구하기 때문에 보여줄 게 많지요. 이렇다보니 다른 분야보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예산이 적어요. 대학교에서도 수학과 교수는 연구비를 적게 받고 연구를 홍보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일부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거래하는 ‘탄소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됐다”며 “탄소배출량 한도를 정할 때 각국의
자연
환경이 흡수할 수 있는 탄소량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블루카본 서식지가 넓으면 높게 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에게 불필요하다고 여겨졌던 염생식물의 가치가 높아진 이유다. ▲ 강화도에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쉘던의 추측을 증명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두 수학자는 각종 소수 관련 이론을 이용해
자연
수 중 쉘던 소수의 후보를 유한개로 줄인 뒤 컴퓨터로 일일이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발표합니다.이 증명을 본 ... ...
[화보] 펠리스 프랑켈 작가의 사진으로 과학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과학을 공부하셨나요?네. 미국 브루클린칼리지에서 생물학과 화학을 공부했어요.
자연
을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컸죠. 대학교를 졸업하고는 미국 콜럼비아대학교의 암 연구실에서 잠시 일하기도 했어요. 하지만 대학원에 진학하진 않았죠. Q 그런데 왜 연구원이 아니라 과학 사진가가 됐나요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메치니코프였어요. 유산균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두 사람이지요. 파스퇴르는 세균이
자연
발생한다는 당시의 주장을 뒤엎고, 세균이 탄저병과 닭 콜레라 등의 질병과 관련이 있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한편, 유산균의 아버지로 불리는 메치니코프는 불가리아 지방 노인들이 유산균을 섭취하면서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마지막으로, 복제된 수많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중에 효소 능력을 지닌 RNA가
자연
선택에 의해 자가 증식될 수 있어야 한다. 과학자들은 네 가지 필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첫 번째 조건인 뉴클레오티드의 화학적 합성의 경우, 2009년 존 서더랜드 당시 영국 맨체스터대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알파벳이 완성됐다. 새로운 염기쌍은
자연
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부
자연
스러운 염기쌍(Unnatural base pair)’이라고 불린다. 새로운 염기쌍을 만들 때 가장 먼저 염두에 둬야 할 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해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DNA는 이중나선이라는 상당히 안정적인 구조를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때 이런 현상은 생물의 적응방식 중 하나”라며 “포식자들의 눈에 띄지 않는 방향으로
자연
선택이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 코코넛으로 변신 중인 코코넛 문어. 몸을 최대한 동그랗게 말아 코코넛 껍데기에 넣어 위장한다. ‘맨 인 블랙’ 같은 지구형 외계인이 살고 있다? 영화 ‘맨 인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