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플라보박테리아를 이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생명공학’ 10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038/nbt.4232 김 교수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역할과 유사한 개념”이라며 “식물의 프로바이오틱스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잠복기 짧은 ‘좀비 ... ...
[과학뉴스] 두 살배기 입속 구강미생물로 비만 예측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여겨지는 미생물 조성이 장보다는 구강에서 나타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리포트’ 9월 1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598-018-31866-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용해 범죄 수사에 쓰이는 DNA 확인 기술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국제
학술
지 ‘셀’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보통 범죄 수사에서 DNA 정보는 ‘짧은 반복수변이(STR)’를 통해 구별한다. STR은 DNA 중 유전자가 아닌 부분에 존재하는 짧은 반복서열이다. 반면 조상 찾기 서비스는 염기 1개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우주에서 중력파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를 국제
학술
지 ‘고전 및 양자중력’ 9월 5일자에 발표했습니다.니나 마르코바 러시아 민족우호대학교 연구팀은 중력파의 성질을 아핀 공간에서 분석해 왜곡 없이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이론적인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은 탄화티타늄을 이용해 뿌리는 안테나를 개발하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1년 막센(MXene)이라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었다. 막센은 티타늄, 몰리브덴, 바나듐 등의 중금속 원자와 탄소 원자의 이중 원소로 이뤄진 얇은 판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있다.doi:10.1016/j.phrs.2010.04.002 그러나 미국 글로벌신경과학계획재단(GNIF) 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뇌와 행동’ 2012년 9월호에 “많은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기억개선 효과가 작거나 플라세보(위약) 효과인 경우가 많았다”고 발표했다. doi: 10.1002/brb3.78201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연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액정에 삽입할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38/s41467- 018-04906-1 박 교수는 “이 지문 센서는 온도와 압력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위조 지문을 구분할 수 있다”며 “플렉서블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해 한국광학회
학술
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남창희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프리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KAIST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교수팀은 얼음으로 겨울철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나노분야 국제
학술
지 ‘ACS 응용재료및인터페이스’ 9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알루미늄판에 1mm 간격으로 10μm 너비의 얇은 홈을 팠다. 그리고 각 홈에 물을 주입해 얼렸다. 이론적으로 얼음은 물보다 증기압이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코넬대학교의 수학교수인 로버트 코넬리, 프랭크 스틸링거와 함께 정리해서 저명한
학술
지인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논문이 발표된 뒤 채킨은 M사로부터 56kg에 달하는 초코볼을 한 아름 선물 받았다고 하네요. 같은 통에 초콜릿을 꽉꽉 채워 많이 먹으려다 놀라운 발견까지 하다니, ‘덕업일치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