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혈액"(으)로 총 1,7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과학동아 l2004년 05호
- 많은 양의 혈액 샘플과 DNA를 추출, 분석하는 시간이 필요한 반면 비리칩은 단 한방울의 혈액으로 즉석에서 바이러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고 밝혔다.특히 연구팀은 심장 이식 수술 과정에서 감염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6종류를 비리칩으로 정확하게 찾아내는데 성공, 수술 부작용을 줄이는데 ...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과학동아 l2004년 05호
- 한방울로 질병을 진단하는 손바닥 안의 실험실. 이것이 바로 랩온어칩(Lab On a Chip)이다. 혈액이든 화학물질이든 적은 양의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반응시켜 분리·분석한 다음, 마지막으로 데이터까지 얻어내는 과정이 작은 칩 위에서 이뤄지도록 한다는 것이다.그러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미세한 양의 ...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증후군을 일으킨다.9번 염색체ASPN : 돌연변이가 생기면 이상소뇌증에 걸린다.ABO : ABO형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로 A, B, O 3가지 타입이 있다.10번 염색체OAT : 이 유전자의 이상은 눈의 망막과 맥락막에 위축을 가져온다.11번 염색체D4DR : ‘모험 유전자’로 불리는 제4형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로 보통 ...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않은 부분을 씻어 내면 음화를 얻을 수 있다 혈장단백질(血漿蛋白質)의 한 성분 즉, 혈액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한 그룹에 붙여진 명칭 정상인은 감마 글로불린이 혈장단백질의 11~17%를 차지하지만 단백질로서는 균일하지 않고 비슷하게 생긴 무수히 많은 단백질의 혼합물이다그 중에서 약 80%는 ... ...
- 만화 그리는 해부학자와 인체 그리는 디자이너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조교가 시신을 덮고 있던 검은 천을 들추니 반쯤 해부된 인체가 그대로 드러난다. 혈액을 제거하고 포르말린 처리를 했기 때문에 시신이 전체적으로 누런색을 띠어 흡사 미라를 연상케 한다. 심장은 주먹보다 약간 크고,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쓸개는 진한 녹색이다.아주대 의대 학생들은 3학년 때 ... ...
- 머리 많이 쓸수록 뇌는 '웰빙'과학동아 l2004년 05호
- 뇌의 부피가 감소하는 현상 이외에도 노화가 진행되면서 뇌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한다. 최근 연구결과 뇌의 혈류량이 감소하면 뇌신경세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뇌가 더 빠른 속도로 노화한다고 알려져 있다.노화 현상은 뇌의 모든 영역에서 골고루 일어나지는 ...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과학동아 l2004년 05호
-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면역 단백질인 글로불린을 만드는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혈액암의 일종인슐린 분비가 부족하거나 인슐린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당뇨병의 한 형태 유전적 요인과 함께 비만, 수면부족, 스트레스, 식생활 서구화 등이 원인이다저항기의 하나 저항값을 임의로 ... ...
- 퀴즈와 애니메이션으로 원리를 이해하는 brainpop.com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애니메이션을 이용해 원리 이해를 돕고 있다.구체적으로 보면 건강분야에는 쌍둥이, 혈액, 아기, 뇌, DNA, 세포 등 60여 주제가 제공되고 있으며, 과학은 원자모형, 전기, 결정, 오존, 공룡, 무지개 등 1백20여 주제, 기술은 우주정거장, 레이저, 로봇, GPS, 잠수함 등 30여 주제의 퀴즈와 애니메이션을 만날 ...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04년 04호
- 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높고 혈관 벽에 붙어 동맥경화증을 일으킨다간에서 합성돼 혈액으로 분비되며 저밀도지질단백질을 만든다임상 1상은 소수의 환자(약 20~30명)를 대상으로 약의 효능을 시험하는 것이다 환자 수를 좀 더 늘리면(약 200명) 임상 2상, 마지막으로 대규모 환자 집단(약 1000명)을 ...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과학동아 l2004년 03호
-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지난해 11월에는 제주 한라의료원에서 간경화 환자에게 탯줄 혈액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이식, 간기능이 회복된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성체 줄기세포 연구가 더 쉽고 실현 가능성도 큰 방향일까.“줄기세포 연구는 배아냐 성체냐를 떠나 아직 시작단계입니다.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