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인
무사
뉴스
"
무인
"(으)로 총 1,055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수심 6000m 압력도 ‘거뜬’…‘검은 노다지’ 로봇이 캔다
채널A
l
2013.08.02
계획된 경로에 따라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중국, 일본, 인도 등 해양 선진국도
무인
채광로봇을 개발했지만 깊은 바닷속에서 스스로 움직이며 광물을 캘 수 있는 건 미내로 뿐입니다. 미내로는 수심 6000m에서 광물을 채집하도록 설계됐습니다. 엄지손톱 위에 경차 한 대가 올라간 압력을 견디는 ... ...
이성계의 극진한 사랑을 받았던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8.01
처음 취현방에 능을 조성했을 때는 고려 공민왕처럼 화려한 병풍석과 난간석은 물론
무인
석까지 모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의 능만 생각하면 남다른 푸대접이 보여 정릉의 수난과 복원의 역사를 한 눈에 느낄 수 있다. 2009년 약수터 근처에서 소전대가 발견되어 원래의 자리인 정자각 ... ...
떴다, 도로 위 ‘매의 눈’
동아닷컴
l
2013.07.25
국내 처음으로 고속도로에 띄운
무인
비행선이다. ▶본보 15일자 A1면 휴가철 반칙운전,
무인
비행선에 딱 걸린다 10여 초 만에 50m 상공으로 떠오른 비행선은 지상에서 조종대를 잡은 기술자의 조작에 따라 주변을 2, 3바퀴 돈 뒤 도로 위 하늘 한가운데 자리를 잡았다. 비행선 양옆에는 ‘교통법규 ... ...
이 시신이 정말 왕의 것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석물이 있다. 문석인과 무석인은 장대하고 선각이 뚜렷하며 머리가 몸에 비해 큰 편이다.
무인
석은 통방울 눈에 코 부분이 떨어져나갔는데 문화재청 서부지구관리소 선릉의 김용욱 소장은 매우 재미있는 이야기를 한다. 코 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은 석상의 코를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말이 있어 ... ...
조선업에 IT기술 융합… 스마트십이 뜬다
동아일보
l
2013.07.18
만난 통합전산실 조성우 상무는 “국제해사기구(IMO) 규정 때문에 아직은 어렵지만 곧
무인
선박이 세계의 짐을 실어 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육상에서 배의 모든 상태를 들여다보고 주변 기상환경도 파악하는 ‘스마트십(Smart ship)’ 기술 덕분이다. ‘스마트십’이란 배의 내부와 주변 환경에 ... ...
휴가철 반칙운전,
무인
비행선에 딱 걸린다
동아일보
l
2013.07.15
오전 오후 2시간씩 단속에 나설 예정이다. 도로공사는 “단속도 중요하지만 멀리서
무인
비행선을 본 운전자들이 사전에 ‘반칙운전’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인찬·조건희 기자 hic@donga.com ▶ [채널A 영상]휴가철 뒷자리도 꼭 안전띠!…안 매면 부상 위험 3배 ... ...
유난히 수난을 많이 겪은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7.09
비슷하다. 성종의 문인석과
무인
석이 윤곽이 굵고 강직하다면, 왕후릉의 문인석과
무인
석은 윤곽과 조각이 섬세하고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는다. 선릉 정현왕후 능침 - 이종호 박사 제공 선릉은 유난히 많은 변고를 겪는데 첫 수난은 선조25년(1592) 임진왜란 때 일어났다. 왜군이 선정릉을 파헤치고 ... ...
승마로봇… 소싸움로봇… 로봇이 경북을 이끈다
동아일보
l
2013.07.05
예정이다. 경북도는 시군의 특성을 살린 로봇을 다양하게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무인
잠수로봇과 산불감시로봇 등 10여 종의 로봇 신기술을 개발했다. 올해 안으로 지능형 휠체어 로봇과 다리 및 양팔 재활 로봇 등 3가지 실용 로봇을 추가 개발한다. 경북도는 로봇시장 규모를 키우기 위해 시범 ... ...
세도정치에 빛바랜 순정왕후의 민생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대표적 석물로 꼽힌다. 특히
무인
석은 순조 때 홍경래의 난 등 각종 민란을 물리친
무인
상의 모습처럼 우람하고 근엄하게 조각돼 있다. 순원왕후비 - 이종호박사 제공 인릉의 비각에는 2개의 비석이 있는데 하나는 철종 8년(1857) 천장 후 조영을 할 때 철종이 자신을 일개 농군 강화도령에서 왕으로 ... ...
아버지를 존경해 아버지의 무덤양식까지 따른 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6
각 4좌가 아래 층을 이루고 있는데 크기와 모습이 대체로 건원릉과 유사하며 문인석,
무인
석 모두 살짝 미소를 짓고 있다. 헌릉의 석물은 망주석만 빼고 모두 두 쌍씩인데 고려시대 현릉·정릉(玄陵·正陵) 제도를 기본으로 한 것이다. 조선 왕릉 중에서는 가장 크며 웅장하다고 알려지며 정자각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