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이런 과정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보는건 당연히 경력 초기의 연구자일 수 밖에 없다.
바로
그런 이유로 미국립보건원도, 캐나다 연구재단도, 그리고 최근에는 한국 연구재단도 경력초기의 연구자들끼리만 경쟁하는 연구비 트랙을 만들고 있다. 과학계의 마태효과는 실재하며 이를 제도적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완벽한’ 원운동을 한다. 위키미디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관에서 재미있는 사례가
바로
투사체의 운동이다. 류현진 투수가 던진 야구공이나 대포가 쏜 포탄이 이에 해당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에서 투수의 손을 떠난 야구공은 어떻게 허공을 날아갈 수 있을까? 이는 과학사 수업을 ... ...
AI전문가 월시 교수 “한국, AI 자율살상무기 금지 협약에 반대하는 국가”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더 어렵다”며 “사람의 눈을 멀게 하는 레이저 무기 생산 금지 협약을 세계가 맺기
바로
직전 중국과 미국의 방산업체가 관련한 계획을 내놨다”고 말했다. 또 “사전적인 금지를 통해 두 회사 모두 실명 레이저 생산을 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터뷰 말미에 “나는 10살짜리 딸이 있다”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
2019.08.01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이야말로 해방 이후 한국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었으며, 대한민국을
바로
여기까지 견인해온 지렛대였다. 하지만 국가는 과학기술인을 사람이 아닌 기계부품으로 취급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국가의 잘못이 크지만, 이 거대한 권력의 횡포와 싸우지 못한 과학기술인의 잘못도 ... ...
유행어된 '한국형DARPA'…과기정통부·국방부 누가 혁신의 아이콘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적극적이다. 후속 결과에서 추가 투자를 할 정당성이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을
바로
종료해 버린다. 고위험을 추구하는 프로젝트의 특성상 한시성을 통해 확실한 프로젝트로 빠르게 예산과 인력을 돌릴 수 있는 조직 구조를 갖춘 것이다. 도전정신과 독립적이고 수평적인 조직 환경도 DARPA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울음이 주는 메세지
2019.07.27
고통을 잘 견디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한 가지 차이가 나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호흡’이었다. 운 사람들이 슬프지만 울지 않은 사람이나 일반 영상을 본 사람들에 비해 호흡이 더 느리고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울음이 정서 상태와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 ...
“위성데이터와 IoT가 만나면 지금까지 없던 혁신 서비스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새로운 것처럼 느껴지지 않고 휴대전화처럼 보편화돼서 일상의 일부가 될 것이며
바로
이 지점에서 누구도 예상 못한 혁신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위대한 철학자의 제자였듯이 플라톤도 자기 못지않게 아주 위대한 제자를 두었다.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17세에 플라톤이 운영하는 아카데미아에 들어갔다. 아리스토텔레스도 플라톤의 제자인지라 스승의 이분법적 세계관(이데아계와 현실계)을 꽤 물려받았다. ... ...
아이러니한 프라이팬
팝뉴스
l
2019.07.25
하다가 프라이 팬에 붙으면 조리가 힘들고 음식 맛도 떨어진다. 모든 주부가 원하는 것이
바로
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다. 그런데 스티커가 문제다. 스티커가 떨어지지 않는다. 프라이팬에 눌러 붙어 버렸다. 떼기도 어려울 것 같다. 사진 공개자는 당장 구입처로 달려가서 항의하고 환불했다고 ... ...
AI 시대, 지능형반도체로 반도체 신성장 동력 발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반도체에 연산이 가능한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미래형 반도체로 스마트 기기에 AI 기술을
바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지능형반도체 포럼은 지능형반도체 기술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산학연이 공유하고 인력양성과 산학협력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출범했다. 기념식에는 산학연 관계자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