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한쪽에 마련된 계류장을 들렀다. 넓이 400m2에 높이 3m의 망으로 둘러싸인 이곳은 지난 2~3
월
에 구조된 산양처럼 숲에서 다치거나 고립된 개체들을 데려다가 치료하고 보호할 목적으로 지었다. 올해 안으로 크기를 더 넓혀서 산양뿐 아니라 다른 멸종위기동물들도 함께 치료하고 보호하며 연구에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회장은 학생 발명가에겐 신화나 다름없다. 재학시절 컴퓨터 ... 찾다가 룸메이트들과 함께 오늘날 페이스북의 초기 버전을 개발했다. 페이스북은 2010년 3
월
현재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SNS로 자리를 잡았다 ... ...
4곳으로 늘어난 영재고 전형 분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지난 4
월
30일 한국과학영재학교에 이어, 5
월
14일 대구과학고의 입학원서 접수가 마감됐다. 그리고 다른 과학영재학교들도 이어서 입학 전형을 전개하고 있다. 서울과학고는 5
월
31일~6
월
10일, 경기과학고는 6
월
1일~4일까지 원서 접수를 받는다. 달라진 입시 전형 분석 각 학교별 모집 요강 ...
숫자 탈출 게임숫자 탈출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5
월
15일까지 정답과 함께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추첨을 통해 당첨된 6분께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쪽에 있습니다. 지난달 정답과 자세한 해설은 ‘도전! 1% 클래스’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고안해내 DNA염기서열이 본격적으로 밝혀지기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 미국 하버드대의
월
터 길버트 교수팀도 화학적으로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방법을 개발하긴 했지만 너무 복잡해서 생어의 방법에 밀렸다.1978년 생어 박사팀은 5386개의 DNA염기로 이뤄진 파이X 174 바이러스의 게놈을 생어기법으로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까닭에 연구 성과를 저널에 발표할 때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윤관현 작가는 지난 4
월
8일 연세대 치대 구강생물학교실 허경석 교수가 치의학 분야의 한 국제 저널(OOOOE)에 논문을 싣는 데 큰 도움을 줬다. 허 교수는 사각턱의 원인이 뼈가 아니라 근육(깨물근)에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깨물근 ... ...
네안데르탈인 후예 지금도 살아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게놈(유전체)지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사이언스’ 5
월
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에서 현재 살아 있는 사람들 가운데 발견되는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발견했다. 이는 초기 인류가 네안데르탈인과 짝짓기했다는 얘기다.특히 네안데르탈인의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영국의 물리학자 찰스 윌슨은 1925년 번개의 전기적 구조에 관한 학설을 발표했다. 이른바 ‘윌슨설’이라고 불리는 이 학설에 따르면 이온 ... 지구 사이에 발생하는 매력적인 상호 반응 현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4
월
14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국립천문협회에서 공개됐다 ... ...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찾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생명과학저널 ‘셀’ 5
월
14일자에 실렸다.유모세포는 머리카락 같은 돌기를 이용해 주변의 소리(진동)를 감지한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청각세포는 여러 가지 감각세포 가운데 유일하게 ... ...
시간 흐르면 독한 암세포도 방심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최근 돌연변이 세포가 약에 저항성을 띠는 메커니즘을 생물학 분야의 학술지 ‘셀’ 5
월
2일자에 소개했다. 연구팀은 암세포 가운데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세포를 따로 분리한 뒤 일정 시간 동안 관찰했다. 그 결과 처음에는 약에 저항성을 띠던 세포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저항성을 잃는 ... ...
이전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1045
1046
10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