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법률
법령
법칙
규칙
법규범
법규
법체계
d라이브러리
"
법
"(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과학수사 X파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일각에서는 이런 장르의 드라마와 영화가 시청자에게 범죄 방
법
과 수사망을 피하는 방
법
을 알려줘 오히려 ‘예비 범죄자’를 양성하고 있다고 우려한다.하지만 과학 앞에 완전범죄란 없다! 수사관들이 현장에서 어떤 것을 증거물로 채취하는지, 국과수 연구원들이 어떻게 사건 상황과 피해자가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부른다. 국내에는 2006년 홍성욱 박사가 미국에서 최초로 미세증거물을 이용한 수사기
법
을 도입했다. 미세증거물은 양이 아주 적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적외선 등 빛을 쏘아 찾는다. 수사관들은 투명테이프나 진공청소기 등으로 사건현장에 남아 있는 미세증거물을 확보한다.위 사례와 같은 뺑소니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됐다.지금까지 살펴본 지진의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지진 에너지의 크기로 나타낸 방
법
이다. 하지만 실제로 지진을 겪는 사람에게는 규모보다 몸으로 느끼는 정도와 땅 위의 피해 정도가 더 와 닿는다. 그래서 탄생한 척도가 ‘진도’다.같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진도는 다르기 마련이다.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면 같은 날 오후 4시(뉴욕 현지시각)에 도착했으니 ‘태양보다 빠르다’는 말이 나올
법
했다. 하지만 콩코드는 ‘소닉붐’이 만드는 소음,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지적받아왔다. 더구나 비행사고가 잇따라 터지며 결국 퇴출되고 말았다.소닉붐은 비행기가 음속을 돌파할 때 앞머리부터 뒤쪽으로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규소원자 간 거리를 알면 구를 이루는 규소원자가 몇 개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이 방
법
은 직관적이고 실용적이지만 단점이 있다. 규소가 산화되면서 질량에 변화가 생기거나, 여러 개의 동위원소(원자의 종류는 같지만 질량이 미세하게 다른 원소)로 이루어진 규소에서 순수하게 한 종류의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결하는 방
법
도 생각해 볼 수는 있겠지요. 현재 상용화된 기술 중 가장 각광받는 방
법
은 역시 유압식입니다. 하지만 제어하기 편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싼 전기모터 방식도 포기하기 어렵습니다. 아마도 가까운 미래에 로봇이 상용화 된다면 가정용은 전기모터 방식이, 군사용 로봇은 유압식으로 ... ...
구석구석! 동물 몸속 대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코끼리 같은 큰 동물은 이 방
법
으로 표본을 만드는 데 3년 정도가 걸려요. 이 기
법
을 쓰면 죽은 뒤에도 동물의 조직을 원래 모습 그대로 보존할 수 있지요.처음 보는 동물도 많아요! 그런데 저건 멸종위기종인 바다사자 아닌가요?맞아요.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도 만나 볼 수 있거든요. 전시된 개복치,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부렸다면 지금의 위치까지 못 올라왔을 거예요. 당구를 배우면서 마음을 다스리는
법
을 배웠죠. 그게 제 인생인 것 같아요.”또한 그녀는 자신이 당구 선수로 성공하게 된 것은 뒤에서 변함없이 응원해주신 부모님 덕분이라고 밝혔다. 김 선수 아버지는 그녀의 장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관찰하는 것으로는 구름을 다 알기 어렵다. 저 넓은 하늘에 한 가지 구름만 있으라는
법
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높이가 다른 만큼 여러 구름이 동시에 생기는 날이 많다. 낮은 구름이 많아 높이 있는 구름이 가려서 안 보일 뿐이다.특히 해가 질 때면 하늘에 여러 가지 구름이 있다는 사실을 쉽게 알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감각이 선명할수록 시간의 밀도는 더 크고, 밀도가 더 큰 시간은 더 길게 느껴지는
법
이다. 127시간은 얼마나 긴 시간일까. 평범한 일상을 보내는 사람에게는 닷새가 조금 넘지만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사람에게는 영겁보다도 긴 시간이다. 어떻게 하면 그 긴 시간을 버텨낼 수 있을까. 사실 아론이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