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생각"(으)로 총 3,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속 유해 화학물질 “직접 먹고 몸에 발랐어요”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일요일 오후, 참치 샌드위치를 두 조각 먹는다. 다음 날 점심, 참치샌드위치를 또 먹는다. 3시, 참치 샌드위치를 먹는다. 5시 45분, 참치 회와 초밥을 한 가득 먹는다. 7시, 참치 회와 초밥, 롤을 먹는다. 다음 날 점심과 저녁, 연달아 다시 참치 샌드위치를 먹는다.’이렇게 만 48시간 동안 참치만 7끼 ...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결론부터 말하자면 거짓말이다.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고 해서 원망하지는 말자. 엄마가 일부러 그러는 건 아니다. 자녀차별은 오랜 진화 과정에서 얻은 본능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도 엄마가 여러분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뿐.누가 번식 가치가 ...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3‘밀림’에 대한 기대가 깨지는 데는 별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이륙한 비행기가 모잠비크 해협을 건너 마다가스카르 상공에 들어선 순간 나는 이미 알았다. 마다가스카르는 밀림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사바나 평원에 가깝다는 사실을. 1950년만 해도 전 국토 ...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물리학을 대다수는 어려운 학문으로 여긴다.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현상이 미적분학이나 미분방정식 같은 추상화된 형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수학에 약한 사람은 물리학을 포기하기 마련이다. 도르래에 매달린 추나 대포알, 기껏해야 당구공 정도로 비유되는 ...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과학동아 l2012년 09호
- Q 1 어떤 종류가 있나사람들이 흔히 말벌이라고 부르는 곤충은 분류학에서는 벌목(目)에서 말벌과(科)에 속하는 무리다. 벌목은 14만 4000여 종으로 이뤄져 있어 딱정벌레목(36만여 종), 파리목(15만 2000여 종), 나비목(15만 7000여 종)과 함께 곤충의 주요 4대 목이다. 꿀벌과 개미도 벌목에 속한다.도시인 ... ...
- 상어를 지켜줘!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영화 ‘죠스’를 보고나면 상어는 늘 공포의 대상이다. 그러나 상어라고 모두 사나운 것은 아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현재 알려진 400여 종의 상어 가운데 사람을 공격하는 상어는 27종에 불과하다. 상어는 뼈가 부드러운 연골어류에 포함되며, 몸이 방패비늘(순린)로 덮여있고 강 ... ...
- 소년, 위기에 처하다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위기가 닥쳤습니다. 연애 초보 소년에게 위기란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불청객 같은 것이지요. 그런데 이번에는 위기가 좀 커 보입니다. 여름 휴가철까지 무사히 보낸 소년은 피치 못할 사정 탓에 여자친구가 한동안 멀리 떨어진 곳에서 지내야 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아예 만날 수 없는것은 ... ...
- 적정기술, 36.5℃의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적정기술이란?2010년 대지진을 겪은 아이티는 지진만큼이나 해마다 반복되는 홍수 피해로 고통을 받는 나라다. 국민들이 나무를 연료로 사용하면서 산림의 90%가 황폐화됐기 때문이다. 2003년 미국 MIT 학생들이 아이티를 방문했다. 주민의 95% 이상이 연료로 장작이나 나무로 만든 숯을 쓰고 있었다. 학 ... ...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1, 2, 3, ….”다 같은 숫자라고 모두 똑같이 센다고 생각하지 말자. ‘1’ 하면 마사이족은 검지부터, 프랑스 사람은 엄지부터 펼치지만, 우리나라 사람은 엄지부터 접으니까. 국가마다, 문화마다 다른 손가락셈의 비밀을 워프에 휘말린 마사이족 삼형제와 함께 파헤쳐 보자. 황당하고도 기묘한 ... ...
-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합체]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왁!”갑자기 시끄러운 쌍둥이가 K를 화들짝 놀라게 했다. 둘이 몸을 겹친 뒤 머리를 양쪽으로 내밀면서 K에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팔과 다리가 각각 네 개, 머리가 두 개인 모습으로 재롱을 떨었다. 개그콘서트에도 나오는 ‘쌍두사’의 모습이다.“이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