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원소를 갖는 임의의 부분집합이 서로 소(두개씩)인 원소를 적어도 5개 포함하도록 하는 최소의 자연수 n을 구하라.제한시간 : 4.5시간문항당 7점둘째날4. K개의 변을 가지는 연결된 그래프 G의 각 변에 1,2,3, …, K의 번호를 모두 붙여가되, 두개 이상의 변에 속하는 G의 정점에서는 항상 이 정점이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과학동아 l1991년 09호
- 곧이어 이번 탐사의 대미를 장식하는 좌담회가 열려 각자 그간 보고 느낀 것을 열띤 목소리로 토론했다. 매일 일과가 끝난 후에도 미리 읽어두었던 논문을 다시 뒤적이며 동료, 지도교수와 늦도록 토론을 벌이던 탐사단은 이날도 도동항에 새벽이 밝아오도록 울릉도와 지구과학, 과학교사의 길에 ... ...
- 동물들의 여름나기과학동아 l1991년 08호
- 동물은 더울수록 숨을 자주 내 쉬어 체온을 조절하는데 비해 낙타의 호흡수는 1분에 16회(소는 2백50회, 개는 3백~4백회)정도에 불과하다. 낙타 등의 혹은 모두 지방덩어리이고, 아래로 갈수록 엷어지는데 그 이유는 등이 받는 직사열을 차단하기 위해서다.이와 같이 동물들은 더운 여름을 나기 위해 ... ...
- 「운동선수의 발」 무좀과학동아 l1991년 08호
- 자주 볼 수 있다.그 밖에도 접촉피부염 세균진 선단농피증 칸디다증 2기매독 비소각화증 약진 등과도 감별해야 한다.이처럼 손발에 수포 또는 농포가 생기거나 염증이 생기고 허물이 벗겨지는 피부병은 아주 많기 때문에 균검사를 통해 무좀이라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무좀약을 사용해야 한다 ...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과학동아 l1991년 08호
- 솔잎을 먹는 송충이와 배추잎을 먹는 배추벌레의 성격이 다르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경우는…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를 보고 그 사람 ... 습관은 17세기 이후부터 생겼다는 설이 있다. 그 이전에는 영주 집에서 큰 케이크를 만들어 소작인에게 한쪽 씩 나누어 주었을 뿐이다 ...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과학동아 l1991년 08호
- 컴퓨터 대중화시대의 개막과 함께 '한국적 체취가 물씬 풍기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기치로 내걸고 나선 이들은 누구인가?국산 소프트웨어 가운데 가장 인기 ... 적부터 컴퓨터를 익힌 이들이 대학생이 되고 또 젊은 프로그래머가 되어 오늘의 한국 소프트웨어 기술을 대표하고 있는 것이다 ...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1년 08호
- 하소연에도 나오는 소라(Batillus cornutus)는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에서 주로 나온다. 소라는 자웅이체이며 일반적으로 뿔이라고 부르는 수관(水管)이 긴 것이 특징이다.해변의 모래사장에 밀려 온 물바랜 많은 조개껍질을 주워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해신(海神)의 조화로만 보이는 일정한 ... ...
- 동물학대와 국민의 비과학성과학동아 l1991년 08호
- 우리 국민 일부의 과학무시현상과 과학몰이해가 어우러져 몬도가네식 식습관을 부추기고 있다.우리 국민처럼 몬도가네식 탐식(貪食)을 하는민족은 이 지구상에 없다. ... 대한 관심이 지난 날처럼 일과성으로 그치지 말고 앞으로는 그들의 숨죽인 신음소리에 늘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
- 가장 깊은 호수과학동아 l1991년 07호
- 산업체들이 있긴 하지만 1971년 이래 소련은 그러한 산업체들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소련 과학자들은 바이칼 호수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오염을 야기시킬 그 어떠한 상황에도 지속적으로 반대하고 있다.An American-Soviet team led by Ray F. Weiss, Ph.D., of the Scripps Inst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과학동아 l1991년 06호
- '게이지 이론'과 '매혹입자'로 소립자물리학연구의 선두에 서있던 이휘소박사는 77년 6월16일 급작스런 자동차사고로 사망했는데…1977년 6월18일 중앙일보는 다음과 ... 이 열리다가 어느 해부터인가 흐지부지되고 말았다.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 그의 삶과 죽음은 이렇게 잊혀져 가고 있다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