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것은 아니다. ‘턱슨’시 공항근처에 있는 허름한 환경연구실험소 본부에서 소장인 ‘
칼
하지’씨는 바이오스피어 2 프로젝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브리핑을 했다. 지상과 같은 조건 만든다 “과학적인 조작에 의해 인간의 생존조건을 완전하게 재현해내는 작업은 고도의 테크놀로지에 의해서만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것만 믿고 끝없는 욕망의 충족을 향해 역사를 이끌어 간다. 사이버네이션의 두쪽 날이선
칼
그러나 이제 차츰 진지하게 이 위험한 상황을 타개하여 나갈 길을 찾지않으면 도리킬 수 없게 되어버릴 지경에 이르렀다. 어떻게 해서든지 이 암세포의 증식에 쐐기를 박는것, 그것이 지구상의 역사의 가장 ... ...
기술전쟁·인간·인간성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옛날은 달랐다.
칼
을 든 두 사람은 상대방이 자기
칼
에 맞아 쓰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행위와 결과는 극히 인간적이다. 신무기로 등장한 소총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소총(또는 기관총도 마찬가지지만)이 신무기로 발명되고 사용된 수 백년간의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여기서 출현한 것이 원자의 개념이다. 물질의 기본입자는
칼
날로 쪼개지지 않는 1억분의 1㎝ 크기의 원자라는 것이다.그러나 '라더퍼드'는 우리의 시각을 원자 크기의 1만분의 1인 ${10}^{-12}$㎝까지 넓혀 놓았다. 그는 1912년에 행한 금박에 α선을 때려 넣어 그것이 산란되는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텔러가 태어나지 않았다면 세상은 좀더 살기 좋았을 것이다"라고 말했고 천문학자 '
칼
세이건'은 "가장 무서운 무기를 개발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 이 무기가 참으로 좋은 것이라고 기를 쓰면서 주장한다"고 빗대고 있다. 그가 연설하는 곳에는 반전운동가들이 몰려와서 훼방을 놓기가 ... ...
비타민은 양날의
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생긴다.▶먹는시기도 중요하다. 크로미움은 아침에,
칼
시움은 밤에 먹는게 좋다.
칼
시움은 몸의 이완을 돕기때문이다.▶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나 긴장에 쌓인 사람들은 보다 많은 비타민을 필요로 한다. 이밖에 담배를 피우는 사람, 수험생, 피임약을 먹는 여성들도 체내에서 비타민 결핍증세를 ... ...
자동차 보유대수와 함께 늘어나는 배기가스 공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청정대책이 나오지 않은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고트립 다이믈러'(Gottlieb Daimler)와 '
칼
벤츠'(Karl Benz)가 1885년에 실용성있는 신형차 디자인을 내놓아 자동차 시대가 열린지도 1백년이 지났다. 전세계의 자동차가 20세기에 들어설 때 2만대 미만이던 것이 1930년대에 1천5백만대가 되고 1980년 대에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시체에 나타난 상처를 보면 그것이 둔기(돌 망치 삽 각목 주먹 등)에 의한 것인지 예기(
칼
송곳 도끼 등)나 총기에 의한 것인지는 물론 흉기의 작용방향 각도 가격횟수 피해 당시의 가해자와 피해자의 습관(왼손잡이)등을 알아낼 수 있는데 이러한 조사에서는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된다.개인식별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전파가 아주 우연하게 포착되었다. 1931년 우주전파를 최초로 포착한 사람은 미국의 '
칼
잰스키'(Karl Jansky)였다. 잰스키는 당시 미국 '위스컨신'(Wisconsin)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뉴저지'(New Jersey)주에 있는 벨(Bell)전화회사에서 일하고 있던 젊은 기사였다. 그가 이 회사에 들어가서 받은 연구과제는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바로 그것이 유전자가 아닐까하고 직감했다. 그는
칼
카르 밑에서 1년 남짓 지내면서 당시
칼
카르가 연구하고 있던 핵산의 물질대사라는 생화학적인 어프로치는 유전자의 구조해명에는 쓸모가 없다고 단정하는 한편 해명의 지름길은 결정락(結晶学)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X선을 사용하여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