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사지
힘
하늘지기
하늘
기지
슬기
뉴스
"
지기
"(으)로 총 1,169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아버지’ 제임스 왓슨은 인종차별주의자였나
2014.12.01
쫓겨났다. 같은 해 12월에는 그의 유전자 중 16%가 흑인으로 물려받은 것이란 사실이 밝혀
지기
도 했다. 그의 조상 중 한 명이 아프리카 계열이라는 뜻이다. 최근 왓슨은 “2007년 이후 자신은 ‘없는 사람(unperson)’이었다”며 “내가 어리석었을 뿐 인종차별주의자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번 메달 ... ...
120세 까지 수명연장 알약 개발 단계…원리가?
동아닷컴
l
2014.11.28
스쿨라체프 박사는 "동물실험결과, 노화와 관련된 많은 질병의 발달 속도가 현저히 느려
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스쿨라체프 박사는 "어떤 암세포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 장수하는 동물 중 하나인 벌거숭이 두더지처럼 인간 역시 질병의 발달 속도가 느려진다면 120세까지 장수하는 것이 가능할 것 ... ...
피부 감염 우려 줄인 신개념 부항기 나왔다
2014.11.12
입구에 주름 캡을 씌운 뒤 흡입기로 내부의 공기를 빼내면 주름 캡이 컵 안 쪽으로 펼쳐
지기
때문에 피부와 부항컵이 맞닿지 않게 한 것이다. 사용 후에는 주름 캡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부항컵이나 흡입기가 오염되지 않고 환자의 감염 우려도 사라졌다. 이 연구원은 “임상 현장의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좋은 건 그 순간뿐 아니라 시간이 흘러서 좋았던 기억으로 떠올릴 거리도 그만큼 많아
지기
때문 아닐까. 실제로 과거의 좋았던 일들을 떠올려 음미하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부익부 빈익빈이라고 행복했던 추억을 떠올리면 현재의 행복도 커진다는 말이다.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핵심이었다. 알코올에 석회 입자를 섞을 때 입자의 크기가 크면 산성도(pH)가 강해
지기
때문에 중성에 가깝게 유지하려면 석회 입자가 작아야 했다. 연구팀은 50~15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로 만든 입자를 알코올 1L에 10~50g씩 섞은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물질을 석상의 손상된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이상 인류의 주식으로 사랑받아 온 밀이 왜 이렇게 된 걸까. 저자는 20세기 중반부터 이뤄
지기
시작한 유전적 변형이 그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국제 옥수수 및 밀 육종 센터(IMWIC)가 멕시코의 식량 자급을 돕기 위해 1943년부터 생산성을 높인 밀을 육종하기 시작했고, 1980년대까지 수천 가지의 새로운 ... ...
2급 두뇌와 1급 수행능력
동아사이언스
l
2014.10.17
저의 선택이 잘못이 아니었음을 알게 됐답니다. 마음에도 여유가 생겼고 일들이 수월해
지기
시작하는 느낌이 들었죠.” 그녀는 투명인간의 시간을 이겨낸 비결을 이렇게 설명했다. “오로지 해야 하는 일인 업무에만 치여 있으면, 정작 기회가 와도 녹초가 되어 일어 설 수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 ...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물이라고 하기에는 중수소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태양이 만들어
지기
이전에 존재했던 물이 태양 탄생 과정에서 사라지지 않고 지금까지 그대로 남아 있다는 뜻이다. 클리브스 교수는 “생명의 근원인 물이 태양이 존재하기 전에 이미 태양계에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라며 ... ...
10월 8일 저녁엔 붉은 색 달이 뜬다
2014.09.30
달의 모습.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천문연은 8일 18시 14분 달에 지구의 그림자가 드리워
지기
시작해, 19시 24분~20시 24분 사이에 달이 완전히 가려진다고 예측했다. 이후 다시 달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22시 35분에 달이 지구의 그림자를 완전히 빠져나오며 종료된다. 개기월식 중에는 달이 지구 ... ...
추석 연휴,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 뜬다
수학동아
l
2014.09.07
그 결과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약 36만km에서 41만km까지 가까워
지기
도 하고 멀어
지기
도 한다. 이에 따라 우리가 보는 달의 크기도 날마다 변한다. 가까울 때와 멀 때의 차이가 약 5만km나 된다. 이 중 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온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르고, 반대로 지구에 가장 멀어진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