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60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사진 제공 세티연구소 새 위성을 발견하게 한 신기술도 주목 받았다. 연구팀은
행성
을 반복 촬영한 뒤 영상을 합치는 방법으로 매우 어두운 우주 사진을 밝게 보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했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 때 노출속도(셔터속도)를 길게 하면 빛의 양이 늘어나 밝은 사진이 된다.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수 있다는 건 행운이 아닐까. ※필자소개 심채경 경희대 우주과학과 학술연구교수
행성
천문학자. 경희대 우주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주제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달 표면의 우주풍화 현상과 편광 특성을 연구하며 모교에서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 ...
GPS 없이도 혼자 돌아다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된다. 특히 로봇은 갑작스레 지형이 바뀌는 재난 현장 혹은 사전정보를 알 수 없는 외계
행성
같은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게 될 확률이 높다. GPS에 의존해서 로봇이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려는 기술이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이기도 한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 작성(SLAM)’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것”이라고 말했다. 정상상태(위)와 폭발적으로 밝아지는 상태(아래)에 놓여있는 원시
행성
계원반의 화학적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 폭발적으로 밝아지는 상태에 있는 V883 Ori에서는 원반이 데워져 스노우 라인이 바깥쪽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넓은 영역에서 얼음에 갇혀있던 다양한 분자들이 ... ...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설치된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해 얻은 성과다. 케빈 루이스 존스홉킨스대 지구
행성
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화성 중력 데이터를 분석해 화성의 지반이 다공성 물질로 이뤄진 것으로 추정한 분석 결과를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HD화질로 본 ‘울티마 툴레', 표면에 지름 0.7㎞ 구덩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탐사선을 보낸 천체 중 지구에서 가장 멀다. 카이퍼벨트는 지구, 화성 같은 태양계
행성
이 형성되고 남은 암석과 얼음 덩어리들로 이뤄져 있다. 울티마 툴레 분석을 통해 원시 상태의 태양계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슈퍼 울프 블러드문이 뜬 그날, 유성체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바위덩어리를 뜻하는 단어로 반지름 10km의 조그마한 소
행성
부터 1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행성
간 티끌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달 표면은 수십억 년 간 다양한 유성체의 충돌을 받았다. 현재도 많은 유성체들이 달 표면으로 떨어지고 있다. 달 표면에 떨어지는 유성체를 영상으로 찍는 것은 ... ...
[다보스포럼] "44년간 척추동물 60%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람베르티니 사무총장은 "WWF가 2018년 낸 '살아있는
행성
'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상의 척추동물 종별 개체수가 1970년부터 2014년 사이 60% 감소했다"며 “지상은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WEF가 앞서 이달 17일 공개한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에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이 유성우는 직경 200km 범위까지 관찰이 가능하다. 유성우는 본래 혜성이나 소
행성
들의 잔해가 지구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혜성이 태양 가까이 지나가면서 태양풍이나 중력에 의해 여러 파편으로 쪼개진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이 파편들이 있는 곳을 지나가게 된다. ... ...
25억년 전, 미생물은 황으로 호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아니라, 암석권 깊은 곳에서 황을 기반으로 한 미생물의 활동을 확인하고 나아가 외계
행성
에서 생명 활동을 추적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