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쪽"(으)로 총 1,055건 검색되었습니다.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2.28
- 정인권 교수, 이철구 교수, 현병환 센터장, 김철민 교수, 노용균 교수, 정현호 사장(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이재웅 기자 ilju2@donga.com 이후 진행된 토론회에서도 참석자들은 노화과학 연구에 있어 통합적 연구 관리 시스템이 마련되고 기초과학자와 임상연구자가 교류하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12.25
- ‘다학재적’ 협력관계는 미흡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BT 전담부처 필요하다” 왼쪽부터 이영식 한양대 교수, 최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공학연구소장, 추연성 LG생명과학 전문. 새 정부에 대한 이들의 기대는 ‘바이오 기술(BT) 전담 부처’로 이야기로 이어졌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1년에 한 번 네트워크하러 미국 오면 너무 늦다” 좌담회 참석자 단체 사진. 왼쪽부터 김안모 박사, 김용환 박사, 최원석 박사, 박성호 박사, 이진옥 교수, 박세웅 박사, 오선호 교수, 강민석 박사, 현병환 센터장. 대덕넷 제공 한국의 생명공학 활성화를 위해 미국 생명공학 인재와 네트워크도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변호사·변리사도 있어야 한다. 정보 네트워크를 위한 인문사회과학자들도 대거 BT 쪽에 들어와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5~6년 정도 더 지나면 BT도 기간산업으로서 첫 발을 디딜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동아사이언스 l2012.07.01
- 2012 바이오컨벤션의 전경 “서로 연결하고 파트너를 찾고 혁신하라!(Connect, Partner, Innovative)” 생명공학박람회인 ‘2012 바이오 국제컨벤션(2012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 자국의 바이오산업에 관한 컨퍼런스를 진행할 정도로 성장했다. 브라질은 바이오연료 쪽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21
- 대한 이야기를 술술 털어놨다. 연구자로 시작했지만 오랜 시간 연구기획과 정책조정 쪽에서도 일을 했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연구를 가장 적게 한 연구자’라면서도 농업 기술 전체를 꿰뚫고 있었다. 라 원장은 인터뷰 내내 기후변화와 식량위기 등의 해법은 농업생명과학으로 풀어낼 수 있는 ...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07
- 전업농 관련 연구에 더 집중했었다”며 “앞으로는 민간기업에도 필요한 연구 쪽으로 연구개발을 확대해 산업 전체를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가적인 차원에서 농업생명공학 부분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지원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고 ...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동아사이언스 l2012.02.13
- 않은 데는 소위 ‘소통’이 문제였습니다. 기초원천 연구에서 쓰는 용어와 산업화 쪽에서 쓰는 용어가 달랐던 거죠. 그래서 용어를 정리한 뒤, 누구나 기초원천 사업의 결과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하는 지도를 만들 예정입니다.” ●실질적인 성과 낼 수 있도록 재구조화 필요 현재 바이오 연구는 ...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동아사이언스 l2012.01.09
- 합성의약품 분야에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의약품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의료기기 쪽에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의 전문기관이 연구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각 기관의 상호 융합이 더 필요하며, 기업과 협업도 필요하다는 게 차 정책관의 생각이다. 그는 “각 전문기관이 잘 하고 ...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동아사이언스 l2011.12.26
- 있습니다. 한반도 근해의 수온이 계속 오르면서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가 러시아 쪽으로 북상해버렸죠. 지난 100년간 전 세계 해양 수온은 0.5℃ 상승했는데, 한반도 주변 수온은 지난 40년간 1.3℃ 올랐습니다. 우리 근해의 해수 생태계 변화가 그 어느 곳보다 빠르다는 얘깁니다.” 기후변화의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