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 나의 과학선생님! Oh! my Science Teacher!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어린이들을 가르칠 과학 선생님도 선발하고 있어요. 각 나라에서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간 아이들을 가르치고, 그 나라의 선생님들과 교류하게 될 거예요. 다양한 문화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기회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보다 교육 환경이 열악한 나라의 과학 교육 발전에도 기여할 수 ...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물리학자 데이비드 브루스터로, 1817년에 만화경으로 특허를 받았다. 브루스터는 1819년에 이란 논문을 써서 만화경을 세상에 널리 알렸다.만화경을 만드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의 평면거울 3장을 정삼각형 통모양으로 만든다. 그런 다음 통 안에 알록달록한 ...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실용화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메타물질을 사용해 ‘진짜’ 투명전차가 나오는 2030년은 너무 멀다. 투명전차를 좀 더 빠르게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어두운 밤이 되면 ‘가시광선’으로 볼 수 있는 거리가 크게 제한된다. 하지만 전쟁터에서는 밤이라 해서 경계를 늦출 수 ...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그렇다면 이렇게 수장된 공룡 화석이 지표면에 대량으로 드러난 이유는 뭘까. 약 2만 년 전, 이 곳은 빙하로 덮여있었다. 빙하기가 끝나고 빙하가 녹은 물은 곳곳에서 넘치고 흐르며 침식이 일어났다. 배드랜드를 둘러보면 물에 의해 침식이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v자 형태의 협곡이 곳곳에 보인다. 이 ... ...
- 확장한글의 꿈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훈민정음’이었다.이렇게 외국어 발음까지 표기하려했던 훈민정음 정신은 반포 후 60년이 지나 연산군의 언문근압 정책이 시작되면서 지하로 들어가 버렸다. 임진왜란 이후 국세가 약해지고 근대에 들어와 쇄국정책이 시작되면서 외국어 걱정할 형편이 못 되었다. 급기야 19세기말 들어 일제에 ... ...
- 쓰레기 DNA 역할 찾았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003년 완료된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인간 DNA를 구성하는 30억 개의 염기서열 중 생명활동과 관련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2%에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의문을 품은 각국 442명의 과학자들은 새로운 프로젝트팀을 구성해 나머지 98% DNA(쓰레기 DNA)의 기능을찾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 결과, 400만 개의 ... ...
- 예술로 다시 태어난 과학재능 기부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미디어 아트로 표현했다.‘10월의 하늘’은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2010년 SNS 트위터에서 제안해 시작된 재능기부로, 자발적으로 참여한 과학자와 시민이 지방 곳곳에서 동시에 과학 강연을 펼친다. 3회째를 맞는 올해는 한국도서관협회 공동주최로 10월 27일 경남 양산, 충남 장항, 전남 ... ...
-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수없는 감격이었다. 갈렉스는 계획된 2년 6개월의 임무기간을 훨씬 뛰어넘는 지금까지 9년에 걸쳐 궤도를 지키고 있으며 그 연구도 지속되고 있다. 어떤 사람은 셋 중 하나만 성공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난 셋 다 다른 의미의 성공을 거두었다고 믿는다. 앞선 두 프로젝트의 아픔을 통해 세번째 미션이 ... ...
- 내장형 저전력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개월만에 다 읽었습니다. 다음 해부터 그 학회에 논문을 내면서 시작했는데, 10년 만인 2009년에는 그 학회의 학회장이 되기도 했죠.”장 교수는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석학회원(fellow)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회원 중 상위 0.1%에 속하는 회원만 누릴 수 있는 영예다. 장 교수처럼 40대에 석학회원이 ... ...
- 생각으로 조정하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과학자들이 생각만 으로 로봇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어요. 이 과학자들은 이미 몇 년 전에 생각으로 운전하는 휠체어를 개발했어요. 이번에 공개한 로봇은 59.5km나 떨어져 있는 곳에서 조종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연구팀은 사지가 마비된 환자의 머리에 센서를 달았어요. 이 센서는 뇌파를 잡아 ... ...
이전1048104910501051105210531054105510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