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눌러 찌그러뜨릴 때의 모습과 유사하다. 흔히 지구의 납작한 정도를 편평도로 표시하는데, 편평도는 반지름의 차를 적도 반지름으로 나눈 값으로 표시한다.그러면 지구는 얼마나 찌그러졌을까? 최근의 정확한 측정에 의하면 지구의 적도 반지름은 6천3백78㎞이며 극반지름은 6천3백56㎞로 21㎞의 ...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1970년 4월에는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동방홍 1호를 발사한 장정 1호 로켓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지금까지 자국의 인공위성을 자국의 로켓으로 발사한 나라 중 일본과 인도, 그리고 이스라엘을 제외한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국 등은 모두 독일의 V-2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로켓으로 ...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그대로 물려주기 위한 독특한 유전적 명령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유전자(gene)라고 하는데, 핵산으로 구성된 유전자는 핵산인 DNA를 구성하면서 얽혀 있는 배열상태에 따라 각기 독특한 유전적 명령을 가진다. 하나의 유전적 명령단위를 게놈(genome)이라 하고 하나의 염색체 내에는 무수한 게놈이 ...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적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대중적 인식확산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입니다.장명화―혹한인데도 연만한 선생님들도 젊은 선생님 못지않게 열심히 탐사에 임하시는 모습을 보고 감명받았습니다. 이를 학문과 연결하면 좋은 결실이 있을 듯합니다. 아울러 이런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신 동아일보와 ...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증상이 나타나게 한 다음에, OGY방법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신호로 심장을 자극하였는데 심박수가 규칙적으로 되면서 안정화되었다. 사람 심장의 혼돈제어 실험에 성공하면 가까운 장래에 혼돈을 응용한 심박조절 장치가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그 많은 나비들인류는 마침내 혼돈을 단순히 이해하는 ...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다시 렌즈로 가열해 산화수은을 수은으로 환원시켰다. 라부아지에는 수은을 산화시키는데 사용한 기체의 질량과 이 산화수은으로부터 얻어낸 기체의 질량이 같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그는 이 기체를 '산소'라고 이름붙였다. 라부아지에의 발견에 의하면 연소 반응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도쿄를 2시간에 비행할 수 있다고 한다.이처럼 로켓은 극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이 상례인데, 고속 비행으로 로켓의 기체 표면 온도는 수백도까지 상승한다. 대기권 재돌입 로켓 기체(機體)의 일부분은 2천℃ 이상의 고온에 노출된다. 로켓을 우주공간으로 띄우기 위해서는 고체 또는 액체 추진제를 ...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한국인보다 현저히 긴 특징을 한국내 지역과 관련시켜 보면 경기 강원지역 출신가운데 많이 볼 수 있다.이를 주변 민족들과 비교해 종합하면 일본인의 긴 눈과 가로로 넓은 이마는 우리나라의 경기도 강원도의 중북부 사람과 관계지을 수 있다. 충청도 전라도의 짧은 눈길이, 동그란 눈은 아무래도 ...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것이다. 더구나 긴 문장의 말일 경우에 도저히 판별이 불가능한 이상한 말이 된다.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차례대로 거꾸로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말하는 사람이 나를 비스듬이 지나가면서 하는 말은 그 사람이 지나가는 경로 중에서 나와의 최단거리에 있을 때에 발음한 것이 제일 먼저 들리고 그 ...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 지금 미국에서 먹고 있는 칡 밀가루는 일본에서 수입하는 것인데 그 값이 싸지 않다.모든 '유해한 잡초'에 대해서 어떤 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통제가 필요하다. 딱정벌레 대신 우리 스스로 이 녹색의 골칫거리를 거두어 들이는 것은 어떨까? We're told we should not be too quick to ...
이전105310541055105610571058105910601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