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정자가 난자와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그렇다면 정자는 왜 무리를 짓는 걸까. 해답은 올 1월에서야 밝혀졌다. 미국 하버드대 진화유전학자 하이디 피셔 박사팀은 쥐의 정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정자의 무리 짓기가 바로 복잡한 짝짓기 양상과 혈연관계 때문이라는 사실을 ‘네이처’에 발표했다 ...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그치겠지만 ‘번개’라면 얘기가 달라진다.미국의 과학자 벤저민 프랭클린은 1752년 9월 번개 치던 어느 날, 열쇠를 매단 연을 전하를 모으는 병에 연결해 날려서 번개가 전하의 이동에 의해 생기는 전기현상임을 증명했다. 프랭클린은 번개 현상의 결과를 통해 번개의 본질을 알았지만, 우리는 ... ...
- [교과연계수업] 3월 14일, 파이(π)와 즐기는 파이파티!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디사이언스입니다. “3월 14일이 무슨 날이지요?” 라고 묻는다면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이트데이”라고 대답할 거예요. 좋아하는 사람들과 달콤한 사탕을 나눠 먹는 것도 좋지만, 3월 14일을 원주율 파이와 함께 즐겨 보는 것은 어떨까요? 원주율 3.14에서 따 와 3월 14일을 라고 ...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유저 로드림 존(Rodream John, 남, 거주 1년 차)과 준 에드윈(June Edwyn, 여, 거주 1개월 차)에게 물었다. 인터뷰는 2월 21일 e메일로 진행했고 기사는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했다. 세컨드라이프가 실제 현실 같을 때는 언제인가요? 준 : 거리를 걷고 있을 때 가끔 그런 착각을 합니다. 게임을 1인칭 .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3월 21일 오후, 경주 대능원 입구에 사람들이 하나 둘씩 모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천문학자들이 자리를 잡더니, 뒤따라 고천문의기 복원 전문가인 충북대 이용삼 교수가 도착한다. 여기에 아마추어천문가 김지현 씨가 합류하니 고요하던 첨성대 주변이 금세 분주해진다. 이들은 현존하는, ...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수준의 점수를 얻으면 무기 아이템을 지급해 플레이어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킨다.지난 1월‘다음 키즈짱’이 오픈한 영어 학습용 기능성 게임인‘다이노키즈’는 영어 공부용으로 인기몰이 중이다.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공룡 캐릭터를 선택해 가상공간을 돌아다니며 영어로 대화하거나 게임, ...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지난 2월 6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발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863명 중 새해에 새로운 계획을 세운 사람은 전체의 91.1%인 786명이었다. 하지만 세운 계획을 한 달 이상 지키고 있는 사람은 그중 13.4%인 105명에 불과했고, 계획 중 일부만 실천하고 있는 사람이 68.8%, 전혀 지키지 못한 사람이 ...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자연 현상으로, 전지구의 기후 변동과 아주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지요. 다만 지난 9월에 한국해양연구원의 예상욱, 국종성 박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엘니뇨가 발생하는 지역이 서쪽으로 옮겨 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던 ... ...
- π와 함께 하는 수학파티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오늘은 3월 14일. 1년에 딱 한 번 열리는 수학파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번 파티의 미션코드는 ‘동그란 물건 갖고 참석하기ʼ예요. 동그란 딱지와 단추, 떡볶이 사 먹으려고 모아 뒀던 짤랑짤랑 주머니속의 동전, 바람을 가르며 달리는 자전거의 바퀴, 소녀시대와 샤이니의 노래가 담긴 CD와 ... ...
- π-day 파티에 입장! 오늘의 주인공, 파이를 만나자!수학동아 l2010년 03호
- 파티에 온 다른 친구들과 인사도 하고 함께 파이도 먹으면서 친해져 볼까? 자~, 뮤직 큐~!3월 14일, 파이의 날은 17, 18세기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자르투가 정했어. 3.141592…. 끝 없이 나가는 무리수 알지? 원이나 구의 넓이와 부피를 구할 때 항상 따라다니는 수. 그게 바로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인 ... ...
이전105310541055105610571058105910601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