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는 물류창고에 이 기술을 시험 적용해 업무 효율을 25%나 개선했다”고 전했다. 이런 기능을 갖춘 드론이 있다면 창고에서 급히 물건을 찾아야 하거나, 방대한 양의 물품 목록을 작성할 때 유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올해 4월 발간된 ‘DHL 물류동향레이더 2016’ 보고서에서도 드론과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화성의 토양을 이용해 차폐막을 만들 예정이며, 세 개로 나눠진 거주시설은 각각 다른 기능을 하게끔 설계됐다. 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원샷 원킬두 작은 RNA는 DNA의 유전정보가 단백질로 발현되는 것을 방해한다는 측면에서 기능이 같다. 하지만 이들의 출처나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은 서로 다르다.miRNA의 출처는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DNA의 인트론 부위에 있는 염기서열과, mRNA에서 단백질 합성과 관련 없는 ...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노화를 억제해줄 마이크로RNA(miRNA)를 찾으려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GDF11의 정확한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요.그런데 최근 이를 사람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18명의 나이 든 환자에게 젊은 사람들의 혈장을 ... ...
- [과학뉴스] 개도 ‘립서비스’ 구분한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틸라 앤딕스 연구팀은 개가 사람의 말을 들을 때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개 13마리에게 각각 내용 또는 억양을 다르게 말하고, 그 때마다 뇌에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했다.실험 결과, 뇌에서 활성화되는 부위가 사람이 단어나 억양을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한다.그러나 사실 과시행동은 실질적인 폭력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과시행동 덕분에 서열이 낮은 침팬지가 물러나면, 물리적 충돌 없이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가 도출된다. 침팬지의 폭력성은 아프리카의 자연 환경에 적응한 사회적 행동인 것이다. 수컷 침팬지는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걸러낸다. 비결은 바로 미세한 구멍. 나노미터(nm, 1nm는 100만분의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전자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는 미세한 나노입자를 표면에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 수 없어요. 대신 인터넷 페이지 등에 널리 쓰이는 HTML 문서에 쏙 들어가서 기능을 늘리거나 바꾸는 역할을 하지요. 그래서 익스플로어나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 안에서 주로 사용된답니다.이 밖에도 베이직, 루비, 자바, 펄 등 다양한 언어가 있어요. 요즘에는 이 언어를 한글 단어로 대체한 코딩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정도의 열이 발생했다면 과전류가 흘렀을 가능성이 높고, 이를 방지하는 보호회로가 제 기능을 못했다고 봐야 한다.또 다른 근거는 갤럭시노트7에만 도입된 ‘USB타입-C’다. USB타입-C는 USB3.1의 성능을 제공하는 케이블로 최대 100W(20V, 5A)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기존에 쓰던 USB3.0에 비하면 1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어진다. 사람은 얼굴 근육 50여 개로 300~1만 가지의 표정을 만든다. 근육마다 형태와 기능이 달라, 복합적으로 움직이는 덕분이다. 표정을 만드는 근육은 눈 주위와 코 주위, 입 주위에 특히 많다. 또 근육에 따라 깊숙한 곳에 있는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얕은곳에 있는 것도 있다.●입과 입술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