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간단한 설문과 면담을 했습니다. 그 뒤 머릿속으로 간단한 뺄셈 문제를 풀게 하면서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를 찍어 뇌의 활동을 관찰했습니다.그 결과 뇌에서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피질이 활성화 됐습니다. 전전두엽 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 ...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정부에도 알려 재빨리 구조할 수 있도록 돕는답니다.페이스북 가입자라면 ‘안전 확인’ 기능을 통해 가족이나 친구가 안전한지 확인할 수 있어요. 재난이 발생하면 페이스북은 위치 정보를 이용해 재난 지역에 있는 가입자에게 안전하냐고 묻는 메시지를 보내요. 안전하다고 하면 친구들에게 그 ...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화성의 토양을 이용해 차폐막을 만들 예정이며, 세 개로 나눠진 거주시설은 각각 다른 기능을 하게끔 설계됐다. 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노화를 억제해줄 마이크로RNA(miRNA)를 찾으려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GDF11의 정확한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요.그런데 최근 이를 사람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18명의 나이 든 환자에게 젊은 사람들의 혈장을 ... ...
-
- [과학뉴스] 개도 ‘립서비스’ 구분한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틸라 앤딕스 연구팀은 개가 사람의 말을 들을 때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개 13마리에게 각각 내용 또는 억양을 다르게 말하고, 그 때마다 뇌에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했다.실험 결과, 뇌에서 활성화되는 부위가 사람이 단어나 억양을 ...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빛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 식물의 광피해를 줄인다. 두 번째 기능은 타감물질을 만든다는 점이다.타감물질은 다른 식물의 생존을 막거나 저해하는 화학물질로, 단풍나무 근처를 가만히 살펴보면 다른 식물들은 거의 살지 않는다. 마지막은 나무를 괴롭히는 해충을 막기 ...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 수 없어요. 대신 인터넷 페이지 등에 널리 쓰이는 HTML 문서에 쏙 들어가서 기능을 늘리거나 바꾸는 역할을 하지요. 그래서 익스플로어나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 안에서 주로 사용된답니다.이 밖에도 베이직, 루비, 자바, 펄 등 다양한 언어가 있어요. 요즘에는 이 언어를 한글 단어로 대체한 코딩 ...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입력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이 홍채를 인식해 그냥 쳐다보는 것 만으로 잠금을 풀 수 있는 기능이다. 이쯤에서 드는 궁금증 한 가지, 왜 하필 홍채일까.홍채는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근육이다. 얇고 수축성이 있는 엽전 모양의 조리개라고 생각하면 쉽다. 동공괄약근과 ...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람이 똑같은 행동을 하는 화면을 보여줬다. 그리고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관찰했다. 휴머노이드는 일본 오사카대 이시구로 히로시 교수가 만든 것으로 얼핏 보면 사람과 똑같이 생겼다.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사람을 볼 때와 로봇을 볼때 뇌가 활성화하는 ...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없었다. 19세기 초, 독일의 치과의사 피터 발리프가 인류 최초로 ‘스스로 움직이는’ 기능 의수를 만들었다. 팔꿈치와 어깨를 손가락과 연결해서, 팔꿈치를 펼치면 엄지손가락이 함께 펼쳐지고, 어깨를 들썩이면 나머지 손가락이 펼쳐지는 의수였다. 의수를 펴기위해 몸을 들썩이는 모습을 상상해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