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d라이브러리
"
미
"(으)로 총 1,82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송전철탑 없는 고효율 전력기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저항이 0이므로 손실 없이 매우 큰 전류를 작은 부피와 무게로 흘려보낼 수 있다. 1997년
미
국의 와케샤전기시스템에서 연구한 결과 3천만VA급을 구리 도체를 사용할 경우 권선의 무게는 수천kg 필요하지만, 고온초전도체는 수십kg으로 충분하다고 발표됐다.고온초전도 변압기는 구리 도체 변압기의 1/2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물론 멀리 있는 충돌은하의 모습은 너무 어둡고 작아 자세한 모습을 보기 어렵다. 이런 의
미
에서 더듬이 은하는 은하가 충돌하는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 셈이다.그렇다면 우리은하는 어떨까. 우리은하는 안전한 것일까. 우리에게서 2백만 광년 떨어진 곳에는 우리 은하의 형제라 할 만한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약 28t의 유리를 갈아서 없애는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
미
국 뉴멕시코주에 위치한
미
항공우주국(NASA) 궤도 파편 관측소에는 지름이 3m인 LMT가 쓰이고 있다 ... ...
주피터 X선으로 윙크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오로라의 X선이 등대처럼 깜박이는 현상도 더불어 만들어낼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
미
스터리다.목성의 오로라도 지구의 오로라처럼 오로라가 생성되는 비밀을 태양 신 아폴론에게 물어봐야 하지 않을까. 여명의 여신 아우로라가 아폴론의 누이이니 그럴듯해 보인다 ... ...
마음으로 깨닫는 물질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특성상 기발하고 재밌는 주제발표도 이어진다. ‘그리스 과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반페
미
니즘’‘자연과학의 발전과 패션의 진보’‘생리학의 출현과 피임의 역사’ 등 여대생 특유의 관심과 섬세함이 베어있는 주제가 그 예다.발표 준비하며 밤새는 학생들수강생은 주제발표 준비를 하며 비로소 ... ...
쌍둥이 퀘이사는 충돌중인 은하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너무 다른 모습이었던 것이다.물론 가시광선에서 이들이 똑같아 보이는 이유는 아직
미
스터리로 남았다. 이들 퀘이사가 서로 가까이 형성돼 가시광선에서 똑같아 보이고, X선으로 중심 블랙홀을 탐사해 서로 달랐다는 한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 ...
화성에서 발견한 물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3월 1일
미
항공우주국(NASA)은 현재 화성 궤도에서 활약중인 오디세이호가 화성에 널리 퍼져있는 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NASA의 마이클 메이어 대변인이 “화성 탐사에서 기념해야 할 날”이라며 브리핑을 시작했을 정도로 NASA는 흥분했다.과연 오디세이호가 발견한 물의 진실은 무엇일까.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에어리언의 냉동 수면 튜브는 우주 여행을 위한 필수 장비다. 아무리 기술이 발전한
미
래라도 우주 여행에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십년이라는 세월이 걸릴 것이다. 그 오랜 시간 동안 승무원들이 아무런 할일 없이 깨어있는 것은 여행의 경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개인으로서도 시간 낭비다. 그러나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서쪽하늘에 모였다가 다음 어디로 움직일까. 태양계에 대한 간단한 지식을 이용하면
미
리 예측해볼 수 있다.먼저 금성은 내행성이기 때문에 지구에서 보면 태양에서 일정 각도(최대이각) 이상 절대 멀어지지 않는다. 즉 하늘에서 보이는 금성은 지평선으로부터 최대이각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 ...
연구의 주역 루시 테일야칸 박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미
오크 리지 국립연구소의 루시 테일야칸 박사는 기자와의 이메일로 이뤄진 인터뷰에서 “기포 핵융합 실험을 재현하고자 하는 전세계 모든 과학자들을 기꺼이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테일야칸 박사(49)는 인도출신으로 렌슬래르 폴리테크닉 대(RPI) 핵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번에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