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러면 오히려 토양이나 벽으로부터 라돈이 더 활발하게 나올 수 있지요.만약 집에 환기 시스템이 있다면 바깥 공기를 안으로 들어오게 할 수 있어요. 그럼 실내 공기 압력이 높아져 토양이나 벽으로부터 라돈이 나오지 않게 막을 수 있지요.4월 15일 포항에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갑자기 라돈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해 9월 27일 ‘IEEE/RSJ 지능형 로봇과 시스템 국제회의’에서 발표했지요. 유연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 로봇팔의 핵심 원리는 일본의 종이 작가 미호코 타치바나가 설계한 ‘꼬인 종이 타워’예요. 트위스터는 아래에 보이는 그림➌과 같은 다면체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레이저는 10kW의 출력을 내는 데 도서관 책장 크기의 거대한 출력 시스템을 요한다. 전투기는 물론이고, 초인적인 힘을 가진 슈퍼맨에게도 부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광섬유를 사용해 레이저 발생기의 크기를 줄이고 출력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하다. 필자가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위해 문을 이중으로 설치한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차단하고 탄소 필터가 달린 물 재생시스템으로 식물을 키우고 있다. 여기서는 물 사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식물이 이곳 주민처럼 소중하게 느껴진다.”_ 조슈아 에를리히 대원 “해발 2500m에서 생활하려니 초반에는 기온 탓인지 몸 상태뿐 아니라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치유하는 방법은 어떨까. 2012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헬스케어시스템 연구팀은 명상을 이용해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방법을 소개했다(doi:10.1177/ 0145445512441200). 연구팀에 따르면 트라우마가 있는 사람이 명상을 하면 불안이나 사회 부적응 같은 증상이 줄어들고 삶의 질이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GPS 장애, 항공기 단파 통신 장애, 전력 불안정으로 인한 정전, 허리케인 추적용 기상관측시스템 장애 등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태양폭풍 발생 3일 전 정확히 예측”전문가들은 현재 태양 활동이 극소기에 접어들었다고 보고 있다. 태양은 약 11년 주기로 흑점 수가 늘어났다가 줄어들기를 ...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종이접기 방식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위스터’다. 트 ...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와 일본 로봇공학회(RSJ)가 공동 주최한 ‘국제 지능로봇시스템 콘퍼런스’에서 9월 27일 발표됐다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RNA(crRNA) 등으로 구성돼 있다. 크리스퍼-캐스9이 표적 DNA를 자르고 나면, 세포내에 있는 시스템에 의해 DNA가 다시 복구된다. 생물학에서 ‘DNA 수선’이라고 부르는 작업이다. 이때 변이된 DNA를 잘라내고 정상 DNA를 도입하기 위해서, 주형이 될 수 있는 외부 DNA를 함께 넣어준다. 이 외부 DNA(Donor DNA)는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킬로노바의 밝기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감시를 피하기 위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강화한다. 이렇게 되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이루는 분자인 ‘면역관문’들이 강해져 T세포의 ‘눈’을 가린다. 과학자들은 PD-1, PD-L1, CTLA-4 같은 면역 관문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를 억제하는 약을 개발했다. 암세포의 ‘무기’를 빼앗은 셈이다.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