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에너지가 아니라, 여러 원자핵이 결합해 새로운 원자가 생기면서 나오는 훨씬 큰 핵에너지이기 때문이에요. 또 원료도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원료인 중수소는 바닷물에 풍부하며, 삼중수소는 리튬이라는 금속을 이용해 만들 수 있거든요. 핵융합 발전을 위한 연구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전자는 반대 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를 끌어당기죠. 그런데 기체 상태의 원자에 큰 에너지를 가하면, 원자 속의 전자가 떨어져 나오면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상태가 돼요. 미국의 물리화학자 어빙 랭뮤어는 이 상태가 피를 구성하는 액체인 혈장(plasma)이 백혈구와 적혈구를 옮기는 모습과 ... ...
- Intro. 세계에서 가장 긴 바닷길은? 新 실크로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안녕? 난 실크로드를 따라 이탈리아에서 저 먼 동쪽 나라 중국까지 다녀온 탐험가 마르코 폴로 님이야. 다들 내 이름 한 번쯤 들어 봤겠지? 글쎄, 나 때는 말이야~, 유럽에서 아시아로 건너가는 길이 아주 험난했어. 낙타를 타고 그 험하다는 타클라마칸 사막 근처를 건너며 오아시스를 찾아 헤매고 ... ...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와~, 내가 아시아를 다녀온 뒤 항로가 개척되면서 실크로드가 많이 변해 왔구나. 아무리 그래도 육로로 지나가는 것만 하겠어? 나 때는 말이야…, 배를 타지 않고도 잘 다녔다고. 엇? 요즘은 배를 타지 않고도 바다를 건너갈 수 있다고? 사장교 | 강주아오 대교의 세 군데에 사장교 구간이 있다. 먼저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매우 많아. 초음파는 털 속 구멍을 이동하면서 열에너지로 바뀌고 밖으로 반사되는 에너지의 양이 줄어들지. 일리 : 또 다른 방어 전략이 있니? 나방 : 응. 우리 나방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박쥐의 수색을 피해. 예를 들어 ‘긴꼬리산누에나방’과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은 긴 꼬리를 이용한단다.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자외선, X선 같은 전자기파를 내뿜는 천체도 있어요. 감마선은 가장 파장이 짧고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전자기파로, 블랙홀 주변이나 초신성의 잔해, 중성자별 같은 천체에서 방출되죠. 거꾸로 생각하면, 감마선이 오는 곳을 알아내면 이런 천체를 찾을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때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거든! 여기에 10년이나 갇혀 있던 내가 나가려면 아이템의 에너지를 혼자 사용해야 하지! 하하! 앞으로 너희끼리 잘 해 보라고!” 다급한 순간, 수호의 눈에 반짝이는 은색 물체가 들어왔어요! “구름 속에서 눈송이가 자라고 있어! 채윤아, 이걸 던져!” ● 통합과학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아무리 다리와 터널을 통해 대륙을 이동할 수 있다고 해도 배를 이용해야 많은 물건을 한번에 멀리까지 옮길 수 있을 걸? 나 때는 말이야…, 커다란 배가 최고의 화물선이었다구. 저기 봐! 아직도 배에 화물을 잔뜩 싣고 가잖…, 어? 저 배엔 왜 사람이 없지? 탄소 배출량 제로, ‘야라 버클랜드’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그새 실크로드가 참 많이 바뀌었구나. 나 때는 말이야~, 지금의 유라시아 북쪽 초원지대를 지나가는 길과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을 지나오는 길밖에 없었는데…. 비단이 다니던 길, 실크로드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유럽을 잇는 과거의 무역로를 뜻해요. 1877년, 독일의 지리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리나라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거예요. 이처럼 대륙이나 국가 간에 망을 연결해 서로 에너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거대한 규모의 전력망을 ‘슈퍼그리드’라고 한답니다. 이렇게 전력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력망이 필요해요. 이때 사용되는 것이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이지요. HVDC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