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기"(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80kg에서 50kg수준으로 경량화하는 방안도 포함시켰다. 이 교수는 “우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우주 탐사를 국익에 활용하는 일본과 중국을 지켜만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시아발(發) 달 탐사 레이스 시작,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크리스찬 요아킴 선임연구원은 “사람들이 분자 모터 및 분자 자동차에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 경기를 기획했다”고 밝혔다.아직은 분자 모터 및 분자 자동차가 생각보다 신통치 않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생각해 보라. 전기모터가 개발되고 세상이 얼마나 바뀌었는지를. 분자 자동차도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제주지역에서 10대 미성년자 성폭행범을 검거하기 위해 DNA를 대량 검색했습니다. 사건 현장 주변에 사는 1300여 명의 DNA를 채취했고, 사건 피해자의 옷에서 발견된 범인의 DNA와 비교 분석해 결국 성폭행범을 잡았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2. [음악] 작곡부터 오페라 공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을 ‘잼(jam)’이라고 해요. 잼은 정해진 악보가 없고, 그때그때 즉각적으로 반응해야 하기 때문에 음악가들에게도 어려운 일이지요.미국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사람과 잼 공연을 할 수 있는 로봇인 ‘시몬(Shimon)’을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사람이 연주를 시작하면 그 음악을 듣고, 어울리는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태양을 가리는 차폐기가 있지만 개기일식 중에는 달이 차폐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차폐기가 필요없다. 대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설치할 코로나그래프보다 좀 더 안쪽의 밝은 코로나를 관측할 예정이다. NASA에서도 조금 다르지만 유사한 관측기를 만들어 시험 관측을 한다.개기일식 시험 관측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많이 떱니다. 한 세포에서 방출된 물질이 바로 옆 세포의 수용체에 붙어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하고, 방출 물질 없이 서로 딱 붙어서 직접 신호를 주고받으며 대화하는 세포들도 있습니다.그럼 이쯤에서 세포의 유도과정을 잘 보여주는 유명한 실험을 하나 소개할게요. 1924년 독일의 발생학자 한스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몇 번이나 미끄러졌다. 임 책임연구원은 멋쩍게 웃으며 “후배들이 안 오겠죠? 이런 일이 하기 싫어서”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거듭 “아 재밌다. 그래도 재밌지 않나요?”라며 웃어 보였다.그랬다. 잠시 동행한 것뿐이지만,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없는 한라산의 속살을 맛본다는 것도, 미래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끼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참가자 108명이 일주일 동안 마음빼기 명상을 하고, 명상을 하기 전후를 비교해봤다. 참석자 중 32명의 뇌파를 측정했더니, 전체적인 뇌 기능 정도(BQ지수)와 육체적, 정신적으로 긴장했을 때 이겨낼 수 있는 정도(오른쪽 뇌의 항스트레스지수)가 높아져 있었다. 걱정과 번뇌가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전에 영점을 잡는 것처럼 기준색에 가깝게 색을 조절하는 것이지요. 캘리브레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색을 인식하는 센서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캘리브레이션을 하는 자세한 과정을 보고 싶은 독자는 아래 QR코드를 스캔해 보세요.캘리브레이션을 하고 나니 이제 한시름 덜었습니다. 모니터에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자체가 일종의 컴퓨터이고, 메모리이기도 하기 때문이지요.이렇게 유전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이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유전학과 수학이 앞으로 이뤄낼 성과가 더욱 기대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으로 찾는 나의 뿌리, 내 유전자는 어디서 왔을까?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