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조화
원
하모니
형혹성
화성군
수원성
d라이브러리
"
화성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정도로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소량만 사용하면
화성
까지의 여행을 몇주만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난 1월 10일 미국 CNN방송은 미항공우주국(NASA)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반물질은 반입자로 이뤄진 물질이다. 기본입자에는 이에 해당하는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태양계나 우주에 조건만 갖춰지면 생명체는 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태양계의
화성
과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는 과거나 현재에 이같은 미생물이 살았거나 살지 모른다고 과학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밝을까. 크기가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가장 크고 비교적 지구와 가깝기 때문이다. 목성은
화성
바로 밖에 있는 다섯번째 행성이다. 목성보다 더 밝은 대상은 금성 정도에 불과하다.2002년 1월에는 목성이 다른 때보다 더 밝다. 이 무렵 지구와의 거리가 다른 때보다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특히 목성은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진입하는 과정에서 사라졌고, 1998년 발사된
화성
기후 궤도선(MCO)도 궤도진입 과정에서
화성
에 너무 근접한 탓에 대기와의 마찰로 산산조각 났다. 1999년 발사된
화성
극지 착륙선과 여기에 실린 딥스페이스 2호는 착륙과정에서 실종됐는데, 너무 일찍 역추진로켓이 점화돼 착륙선이 표면에 충돌한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불렀다. 탐사로 새롭게 발견된 수많은 크레이터에는 이름이 필요했다. 수성은 달이나
화성
의 경우와는 달리 아무도 표면을 본 적이 없어 작명이 쉬울 것 같았으나 논란은 있었다. 과학자나 천문학자의 이름은 이미 다른 행성에 사용됐기 때문에 도시에서부터 새의 이름까지 새로운 명명법이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베스타를 발견할 수 있다. 또 뿔 사이에서 빛나는 토성도 만날 수 있다. 소행성은
화성
과 목성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행성들이다. 1801년 피아치가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한 이래 현재 궤도가 알려져 있는 소행성만 수만개가 넘는다. 이 중 가장 큰 주요 소행성 4개를 4대 소행성이라 한다. 4대 ... ...
오디세이, 첫 영상 선보여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수소는 생명체에게 필요한 물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이기 때문이다.오디세이호는 미래의
화성
탐사를 위한 길도 닦을 계획이다. 2003년에 발사될 착륙선이 착륙하기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고, 언젠가 이뤄질 유인탐사에 대비해 인간에게 해가 될지 모르는 방사선 수치를 모니터한다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작업으로, 원형을 찾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하지만
화성
행궁의 경우는 ‘
화성
성역의궤’라고 하는 상세한 문헌기록이 있었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한 고증자료를 통해 원형에 가까운 복원이 가능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복원과정을 통해 역사기록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든다.지금 우리는 우주탐험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몇년 전 미국의 패스파인더호가
화성
에 착륙해 놀라운 사진을 보내왔다. 우주의 에너지는 65% 정도가 진공에너지라는 주장이 최근 몇년 동안의 관측을 토대로 설득력을 얻고 있다. 20세기 초에 진공은 ‘에테르’(ether, 빛을 전파하는 매질로 생각됐던 ... ...
화성
탐사 나서는 집채만한 축구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이동속도는 시속 35km 정도로 추정됐다. 텀블위드 로버는
화성
뿐만 아니라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이나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