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뉴스
"
넓은
"(으)로 총 1,152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까칠한 당신이 선물 받긴 더 좋다
2014.12.24
선물을 추천했다. 상품권을 사더라도 특정 제품을 교환하는 상품권보다는 사용 범위가
넓은
상품권을 사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스테펠 교수는 “사람들은 보통 선물을 받을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사야한다는 강박관념이 있다”면서 “이 경우 이미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물건을 선물하는 등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책까지 술 취한 상태에서 대충 쓴 것 같지는 않다. 구성이 꽤 짜임새 있고 발품을 팔아 폭
넓은
취재를 했고 작가답게 흥미진진하게 썼다. 서론에 이어 여덟 개 장이 주제별로 전개된다. 즉 1장 효모, 2장 당(糖), 3장 발효, 4장 증류, 5장 숙성, 6장 맛과 향, 7장 몸과 뇌다. 그리고 8장이 바로 숙취다. 이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황동목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기존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게르마늄이 입혀진 ... ...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결합 부위)에만 탈메틸화가 일어나지만 후기 단계에서는 약 수만 개의 염기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의 DNA에 탈메틸화가 이뤄져야 줄기세포로 역분화 된다는 점을 찾아냈다. 역분화 초기 단계처럼 특정 부분만 탈메틸화되면 역분화가 일어나는 줄기세포도 있다. 유사만능줄기세포인 F-클래스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핀잔을 주는 것처럼. 20여 년 전 구소련과 동구권 몰락을 봐도 그렇고 오늘날 북한이 꽤
넓은
땅을 가지고도 2500만 명이 먹을 식량을 생산하지 못해 쩔쩔매는 것도 경쟁이 없는 사회의 만성적인 의욕상실이 한 원인일 것이다. (문맥상 순서를 바꿔) ‘불급유과(不及猶過)’ 즉 모자람은 지나침과 ... ...
‘반데르발스 힘’ 예상보다 10% 더 세다
2014.11.26
이는 이론에서 예측한 것과 같다. 반면 분자의 크기가 커서 분자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반데르발스 힘은 이론적으로 예측한 값보다 10%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게코도마뱀이 벽에 달라붙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생체 분자와 벽 사이에 작용하는 반 데르 발스 힘 덕분이다. - ... ...
광대역에서 빛의 편광 자유자재로 조절
2014.11.25
넓은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은 자연계에서 찾기 어렵다”며 “빛의 편광을
넓은
대역에서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새로운 광소자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UHD TV로 생방송 가능해졌다
2014.11.19
TV 는 기존 TV에 비해 4배 이상 선명하지만 그만큼 많은 정보를 송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더
넓은
대역의 전파가 필요해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이런 문제 때문에 UHD 방송은 현재 녹화방송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4K급 UHD 영상을 실시간 압축할 수 있는 고효율 비디오 ... ...
2급 두뇌와 1급 수행능력
동아사이언스
l
2014.10.17
연수를 하고 있냐고 말이죠. 저는 쓰임이 많은 사람이 되고 싶고 그러기 위해서는 더
넓은
곳에서 일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준비과정이라고 대답했어요. 친구 따라 강남 간다? 동료 따라 유학 시험 본다! “연수를 마치고 귀국한 뒤에는 환경부에서도 지방청에서 근무하게 되었어요. 때마침 서울에서 ... ...
쇼핑몰 안에서 헤매지 마세요~ 실내 내비게이션이 있잖아요
2014.10.15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쇼핑몰이나 백화점 등의
넓은
실내에서 길을 찾기 힘든 경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실내용 내비게이션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개인이 갖고 있는 스마트폰에 앱을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