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편리하고 저렴한 인터넷 쇼핑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인터넷서점에서는 누구나 손쉽게 책을 찾아볼 수 있어 검색기능만으로도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①교보문고(www.kyobobook.co.kr)교보문고의 인터넷 서점은 2백만권의 서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간 월간 연간 베스트셀러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책찾기, 분야별 책찾기, 베스트셀러,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순간적으로 생기는 초고온 상태를 이용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핵융합반응을 일으켜 더
큰
폭발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 폭발력은 원자탄의 수백에서 수천배에 이른다. 그러나 수소폭탄은 임의로 제어해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어 쓸 수 없기 때문에 핵융합을 진행시키면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 ...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별들이지만, 태양보다 10만배 이상이나 밝은 빛을 쏟아내는 우리은하 속에서 가장 밝고
큰
별들 가운데 하나다.작은개자리Canis Minor●중심위치:적경 7시 40분, 적위 +6도 ●자정남중:1월 24일 ●보이는 별 수:13개작은개자리는 1등성 프로키온과 3등급의 베타별 단 2개로 연결된 작은 별자리이다. 하지만 ... ...
과학자의 꿈이 된 노벨상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공장은 21개국에 95개나 세워졌다. 게다가 노벨은 러시아의 바쿠 유전(油田)에 투자해서
큰
돈을 벌었다.노벨이 인류의 평화와 과학 발전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내놓을 생각을 갖게 된 데는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가 전해진다. 1888년 파리의 한 신문에 그가 죽었다는 기사가 실린 적이 있다. 당시 그의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또 성능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갖는 장치들도 구비해야 한다. 결국 화면이
큰
CRT TV는 필연적으로 무겁고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현재 CRT TV의 화면크기는 40인치 정도가 한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크고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를 찾는 소비자들의 욕구는 결국 또다른 디스플레이의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핼리 혜성이 나타나면 많은 국민이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될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이에 자극을 받은 천문학자들과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막연한 기대를 버리고, 중소도시 별 축제 같은 대중과 함께 하는 행사를 진행하며 혜성 축제를 벌이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그 결과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HP${O}_{4}$²-)과 인산이수소이온(H₂P${O}_{4}$-)도 이산화탄소와 함께 혈액의 완충 작용에
큰
도움이 된다.혈액의 완충능력은 매우 뛰어나다. 순수한 물 1L의 pH를 7에서 2로 변화시킬 수 있는 양의 염산을 혈액 1L에 넣어주면 그 pH는 7.4에서 7.2로 겨우 0.2가 바뀌게 될 뿐이다. 산성인 식초를 많이 먹어도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예나 지금이나 컴퓨터와 가장 빨리 친숙해지는 길은 게임을 하는 것이다. 게임은 컴퓨터의 특성은 물론 최근 발전하고 있는 신기술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네티즌 사이에서 선풍적 ... 있다. 이런 게임을 PC에서 즐길 수 있다는 것은 에뮬레이터 기술 발전이 가져다 준 크나
큰
선물이다 ... ...
녹차가 암세포 성장 둔화시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녹차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많이 발표돼 왔다. 이 주장을 좀더 과학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실험결과가 미국 퍼듀대학의 도로시 ... 하지만 암세포가 tNOX의 활동이 억제됐을 때 결국 죽게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으로도
큰
성과다. 과연 녹차는 자연이 인간에게 준 작은 선물일까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거부감을 줄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문이나 손 모양은 사용자들의 거부감이
큰
편이다. 또 반지를 끼고 있거나 류머티스관절염 환자들에게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바로 손등의 혈관인식시스템이다.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손등의 정맥패턴도 지문처럼 ... ...
이전
1060
1061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10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