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만들거든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까요?저는 2004
년
덴마크공대 프랑크 아빌드-피더슨 교수팀이 최초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을 촬영한 실험을 참고했습니다. 연구진은 평범한 투과전자현미경 대신 ETEM(Environmental TEM)이라는 특수한 장비를 사용했습니다. 기체 실험을 찍을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머리를 쓰고 있는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놀랍게도 이런 명백한 사실이 1990
년
대 후반까지도 무시돼 왔다. 일을 하지 않을 때는 뇌도 쉴 거라는 ‘믿음’이 그만큼 강했기 때문이다.레이클 교수는 이처럼 우리가 빈둥거릴 때도 열심히 활동하는 뇌의 영역을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털이 많고 피부가 검은 모습으로 그리고 있었다.하지만 이는 유럽에서 100여
년
에 퍼졌던 잘못된 상식이다. 네안데르탈인은 중위도인 유럽에서 진화했고, 일부는 시베리아까지 퍼져 살았다. 이 지역은 오늘날 흰 피부를 지닌 사람들이 산다. 적도 부근보다 햇빛이 강하지 않아 멜라닌 색소를 지닐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모른다.1970
년
대에 PET가 개발되고 1990
년
대에 fMRI가 개발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2010
년
대에 또 다시 모든 뇌과학자들을 잠 못 들게 할 새로운 뇌기능영상 기계가 등장할 지도 모른다. 지금도 세계의 많은 뇌공학자들은 영화 아바타에 나오는 뇌 스캐너 캡슐을 꿈꾸고 있다.[뇌자도(MEG)는 짧은 순간에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특히 혈중 지단백질을 낮추는 데 가장 효율적인 형태의 아포지방단백질 유전자는 150만
년
전에 등장했습니다. 이 때는 바로 호모 에렉투스가 큰 두뇌와 몸집을 하고 아슐리안 돌도끼(석기의 양쪽 면을 가공해 다듬은 발전된 석기)를 만들어내는 시점입니다. 인류는 큰 두뇌와 큰 몸집을 가지고 ... ...
성적도 오르는 즐거운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더 많은 친구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활동으로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현재 2학
년
인 3기 학생들은 친구들이 수업시간에 볼 수 있도록 새로운 화학Ⅰ교과서의 실험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있다. 각종 과학축전에도 참여해 과학이 생소한 지역 주민들에게도 과학 체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다중우주다(과학동아 5월호 기획 ‘다중우주’ 참조).우리는 이미 태어난 지 137억
년
이나 되고, 상상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큰 성숙한 우주에 살고 있다. 이 우주에서 어떤 변화가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 않다. 그만큼 우주는 크고 멀다. 하지만 우리 우주가 막 태어나던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비행에 필요한 양력과 추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각도가 되도록 바꿔주는 것이다.몇
년
의 시행착오를 거쳐 연구팀은 풍뎅이 날갯짓에 가까운 비행체를 만들었다. 날개를 비트는 동작을 그대로 흉내 내기는 어려웠다. 고민 끝에 날개 뒤쪽을 몸체에 고정시켜 날개 바깥쪽의 회전이 커지게 만들어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010
년
5월 한 영국 저격수가 방아쇠를 당겼다. 총구를 떠난 8.59mm 구경의 탄환은 초속 900m가 넘는 속도로 2.64초 동안 날아가 표적에 명중했다. 탄환이 날아간 거리는 총 2475m. 현재 가장 먼 거리에서 저격에 성공한 기록이다. 방아쇠를 당긴 크레이그 해리슨 상병은“바람, 날씨, 시야, 모든 것이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결정화한 설탕이 보급되면서 설탕이 주된 당의 형태가 된 것이다.그런데 지난 수십
년
사이 이런 트렌드에 변화가 생겼다. 옥수수 녹말을 효소로 처리해 포도당으로 분해한 옥수수 시럽을 만들고 여기에또 다른 효소(자일로오스 이소메라아제)를 처리해 포도당을 과당으로 바꾸는 발효기술이 나왔기 ... ...
이전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1068
1069
10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