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구간을 카약(나무와 동물가죽으로 만든 길쭉한 배. 대개 1인승으로 배 가운데 뚫린
구멍
속에 앉는다)으로 이동했다.하루에 10시간 정도 노를 저어 갈 수 있는 거리는 30~40km. 작은 마을조차 없어서 늘 나무그늘 아래에 텐트를 치고, 음식을 구하지 못해 수박으로 한 달을 견뎌야 할 만큼 탐험은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노와트 수준으로 너무 작다. 만일 파워를 10밀리와트 정도로 높이면 탐침이 과열돼
구멍
이 파괴될 것이다. 하지만 레이저를 따로 쏘자 이런 단점이 싹 사라졌다. 분해능도 정 연구원의 표현처럼 ‘주먹으로 물건을 만지던 수준에서 손가락 끝으로 만지는 수준’으로 높아졌다.나노광학연구실은 ... ...
몸으로 느끼는 수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세팍타크로 공은 플라스틱 여러 개를 엮어서 구 모양을 만드는데, 오각형의
구멍
과
구멍
주위에서 육각형을 발견할 수 있어. 정이십면체를 깎아서 만든 축구공처럼 오각형과 육각형의으로 만들어진 셈이지.그런데 이 세팍타크로 공을 직접 만들면서 입체도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수학체험전이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여객기 승객들은 에어컨
구멍
에 자꾸 편지를 집어넣곤 했다. 에어컨
구멍
이 당시 우체통
구멍
의 모양과 유사하게 생겼기 때문이었다. 또 트랜스월드 항공의 승객들 중에는 좌석 머리 위의 화물칸에 아이를 넣어두려는 엄마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해프닝을 거쳐 디자인공학은 ‘인간’을 더욱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그를 죽이지 못해서 희생당한다. 하지만 그들 모두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가면서 가슴에
구멍
이 하나씩 뚫려간다. 공포와 상실의 고통이 적절히 분배되면 영화의 깊이가 더해진다. 아무리 막아도 번지고야 마는 전염성, 그것이 좀비 영화가 우리를 자극하는 또 다른 공포다.▼관련기사를 계속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모양은 바람개비가 도는 모양과 비슷한 나선모양이 된다. 한편 한가운데 동그란
구멍
은 태풍의 눈이다. 태풍의 눈이 생기는 원리는 수조나 대야에 물을 담은 뒤 저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물을 빠르게 저으면 가운데 물이 바깥으로 빠지면서 동그란 공간이 생긴다. 마찬가지로 태풍에서도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투명하게 한다. 화학적 여과는 나무를 태워 만든 활성탄을 많이 쓴다. 내부에 미세한
구멍
이 많은 활성탄은 오염물질을 흡착해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방법이 생물학적 여과다. 생물학적 여과는 미생물을 이용해 수조 안 생태계에 자정 기능을 제공한다.수조를 처음 만들었을 때는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한쪽 아래에 뚫린 작은
구멍
으로 수많은 꿀벌들이 기어 나오거나 날아 들어가고 있다. 이
구멍
은 꽃꿀이나 꽃가루를 채집하러 가는 벌과 이미 채집하고 돌아온 벌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이다. 상자 하나에는 얼핏 보기에도 7장쯤 돼 보이는 벌집이 꽂혀 있다. 벌집 한 장마다 많은 벌들이 잔뜩 ... ...
섬유에서 시작하는 패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물은 막아주고 몸에서 방출된 열은 바깥으로 날려 보내 옷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구멍
은 크기뿐 아니라 1평방인치(2.54cm×2.54cm)당 90억 개 이상 뚫려 있다는 점도 쾌적함을 준다. 이런 특성 때문에 고어텍스는 겨울스포츠를 위한 의복에도 적합하다.옷이 쾌적함을 주기 위해 필요한 다른 요소가 바로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코! 증산작용은 잎의 기공에서 일어난다. 기공은 2개의 특이한 세포로 이뤄진 공기
구멍
이다. 기공은 공변세포로 이뤄져 있는데, 공변세포는 주변의 다른 세포와는 달리 엽록체를 갖고 있어서 초록색으로 보이며 광합성이 일어난다. 한낮에 광합성이 활발해지면 공변세포에 유기 양분(포도당)이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