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시"(으)로 총 6,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원리가 완전히 다르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웨어러블 로봇은 투박하고 거대했다. 당시 로봇 연구자들은 착용자가 생각한 대로 움직이는 웨어러블 로봇을 만들고자 했다. 사람은 로봇에 ‘탑승’만 할 뿐 로봇이 주체가 돼 움직이는 웨어러블 로봇을 구상했다. 그런데 2010년을 기점으로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 확인됐을 뿐이다. 1990년대 뉴렉신과 뉴로리긴 등 시냅스 접착 단백질이 발견됐지만, 당시에는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고 교수는 “2003년 뉴로리긴 단백질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며 “이후 시냅스 접착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졌다”고 말했다. 최근까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또 다른 위대한 수학자 중 한 명인 앤드루 와일스 역시 ‘타원곡선’이라는 그 당시 가장 최신 현대 수학 기법을 이용해 무려 3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해결했습니다. 이런 지식의 습득은 혼자서 논문을 읽고 공부해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수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향원정에는 무슨 이유로 도넛 모양의 온돌이 설치된 걸까요?아쉽게도 향원정을 건축했을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질 않아 정확한 이유를 알 수는 없어요. 다만 이번 조사에 참여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배병선 소장은 “정자가 연못 위에 있어 지반이 약한 탓에 온돌을 전체적으로 설치하기가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5만3800달러(약 6400만 원), 반려묘가 3만5400달러(약 4300만 원)다. #3. 테이저상상1900년대 초 당시 가장 유명한 SF 작가 톰 스위프트가 1911년 지은 ‘톰 스위프트와 그의 전기 소총(Tom Swift and his Electric Rifle)’에는 테이저건이 등장한다. 이 소설은 아프리카에 간 주인공들이 코끼리를 사냥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극장에서 가족과 함께 봤다. 지금은 멀티플렉스 극장에 밀려 노인 전용 극장이 되었지만, 당시에는 주요 개봉관이었다. 영화가 시작하고 사막에서 드로이드(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로봇류를 통칭하는 말) 둘이 걸어가는 장면이 나왔고, 두 살 어린 동생이 옆에서 잠을 자는 동안 나는 영화에 완전히 ... ...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도쿄대 합격 통지서가 날아왔다. 상위 5명 안에 든 것이다. 정확히는 딱 5등이었다. 합격 당시에는 마냥 기뻤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한 끗 차이로 도쿄대에 못 갈 수도 있었다. 그래서 지금도 그때만 생각하면 심장이 쫄깃해진다. 등수가 높은 학생들에게 학과를 선택할 기회가 먼저 주어졌다. ... ...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수학의 근본은 적분’이라고 생각해 MIT 학생을 대상으로 적분 대회를 개최했어요. 당시에는 단계마다 칠판에 문제를 동시에 풀어 많이 푼 학생에게 ‘위대한 적분가’ 칭호를 줬는데, 참가자가 늘면서 시험을 보듯 적분 문제 20개를 푸는 예선을 도입하고 정규리그와 개인전을 거쳐 위대한 적분가를 ... ...
- 보이저…미래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플루토늄이 점점 줄어들면서 만들어지는 전기의 양도 줄어들고 있어요. 현재는 발사 당시의 60% 정도의 전기만 생산할 수 있죠.그래서 NASA의 보이저 팀은 올 7월, 전력을 아끼기 위해 우주 방사선 카메라의 보온 장치를 껐어요. 보이저 2호가 있는 곳은 영하 59℃까지 떨어지는 성간 우주라 보온 장치가 ... ...
- [핫이슈] 천문…하늘에 묻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진행돼요.조선 최고의 과학자로 불리는 장영실은 원래 노비의 자식으로 태어났어요. 당시 엄격한 신분 사회임에도 세종은 능력으로 사람을 평가했고, 똑똑한 장영실을 특히 총애했어요. 그 덕에 장영실은 벼슬을 얻고, 오랜 시간 세종과 함께 과학기구를 발명하며 재능을 펼쳤지요.이때 탄생한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